
부동산 신뢰, ‘누구와 거래하느냐’에서 시작된다!
보이지 않는 불안의 뿌리
부동산 거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가격이나 조건이 아니라 ‘신뢰’다. 수억 원대의 계약서를 앞에 두고도, 그 자리에 앉아 있는 사람이 누구인지 정확히 모른다면 불안감은 사라지지 않는다. 서울 성북구가 8월부터 시행하는 대표 개업공인중개사 신분증 착용 의무화는 바로 이 불안의 뿌리를 건드린 조치다.
자격증이 있어도 확인하지 않는 현실
그동안 많은 중개사무소는 개설등록증과 자격증을 사무실 한쪽에 걸어두는 것으로 법적 의무를 다했다. 문제는 이를 꼼꼼히 확인하는 고객이 드물고, 실제 상담자가 대표인지 보조원인지, 혹은 자격이 있는 사람인지 쉽게 알 수 없었다는 점이다. 이 틈을 타 무자격자의 불법 중개나 보조원의 대표 행세 같은 문제가 발생했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소비자에게 돌아갔다.
단순하지만 강력한 장치
성북구의 해법은 단순하다. 대표 공인중개사가 실명과 사진, 사무소명, QR코드가 포함된 신분증을 반드시 착용하도록 한 것이다. QR코드를 스캔하면 해당 사무소의 등록 상태와 고용 인원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고객은 거래 상대방이 ‘누구인지’를 바로 알 수 있다.
신뢰 회복의 세 가지 효과
이 제도는 세 가지 긍정적인 변화를 예고한다. 첫째, 무자격·불법 중개를 사전에 차단한다. 둘째, 거래 과정을 투명하게 만들어 고객 신뢰를 높인다. 셋째, 대표 공인중개사에게 책임 의식을 각인시킨다. 간판과 명함 뒤에 숨을 수 없는 구조가 만들어지는 셈이다.
제도의 성패는 사후 관리에 달렸다
제도의 성공은 시행만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현장 점검과 교육, 위반 신고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해야 한다. 무엇보다 중개사 스스로 ‘내가 누구인지’ 드러내는 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문화가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신분증은 단순한 목걸이에 불과할 것이다.
전국 확산의 가능성
성북구의 시도가 성과를 거둔다면 다른 자치구, 나아가 전국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충분하다. 부동산 거래의 신뢰 회복은 특정 지역의 문제가 아니라 시장 전체의 과제다. 신뢰는 복잡한 규제나 고비용 시스템이 아니라, 단순하고 가시적인 장치에서 시작될 수 있다. 이번 신분증 제도가 그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tei : 010-3362-70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