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대형 화재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건축물 화재확산 방지 및 피난소화 성능 향상 기술개발’ 사업에 착수한다. 이 사업은 2025년부터 2029년까지 5년간 추진되며, 총 2,30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국토교통부가 1,850억 원, 소방청이 450억 원, 민간이 90억 원을 부담한다.
주관기관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며, 국토교통부와 소방청,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KAIA)이 공동으로 사업을 추진한다. 이번 사업은 화재로부터 보다 안전한 건축환경을 조성하고, 현장 적용이 가능한 실증기술을 확보해 제도화까지 연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는 이를 위해 총 4개 중점 과제를 설정했다. 먼저 지하주차장 천장, 배관 보온재, 건축물 일체형 태양광(BIPV) 등을 대상으로 마감재의 화재안전 성능을 높이고, 이에 대한 성능평가 지표와 시공 매뉴얼을 개발할 예정이다. 또 대피공간과 대체시설에 대한 시뮬레이션 기반 통합 성능 검증 시스템을 구축하고, 실제 평가시설도 조성한다.
불법 자재 유통을 막기 위한 이력 관리체계와 시공 후 유지관리 기술이 포함된 전주기 관리 플랫폼도 개발된다. 여기에 외벽 수직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 설계, 하이브리드형 방화·내화 시스템 등 차세대 소화설비 기술도 함께 추진된다.
정부는 이번 기술개발을 통해 화재 확산 억제, 피난 안전성 확보, 건축물 화재안전성 제고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대형 화재에 대비한 신뢰성 높은 평가체계를 마련해,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건축환경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문의: 010-9624-44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