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는 8일 서울에서 ‘제15차 한-아세안 교통협력포럼’을 개최한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포럼은 ‘AI 기반 솔루션을 통한 아세안 내 더 스마트하고 안전한 모빌리티 실현’을 주제로, 동남아 교통 디지털 전환과 연계성 강화를 위한 전략을 모색한다.
한-아세안 교통협력포럼은 2010년 시작돼 매년 열리고 있으며, 올해로 15회를 맞는다. 특히 올해는 처음으로 해상교통 분야가 협력 논의에 포함돼 협력 범위가 확대될 전망이다.
아세안은 국가별 디지털 전환 수준의 편차가 크고, 일부 국가는 교통 인프라 디지털화가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물리적 인프라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이 실현 가능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포럼은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의 개회사와 이성해 국가철도공단 이사장의 환영사, 미얀마 교통통신부 수석대표의 축사로 개막한다. 이어 장인권 카이스트 모빌리티대학원장이 **‘스마트 모빌리티 실현을 위한 AI 혁신 방안’**을 주제로 기조연설에 나선다.
공식 세션은 총 4개로 구성된다.
1세션에서는 한국이 수립 중인 ‘한-아세안 교통협력 로드맵(2026~2030)’이 소개되며, 아세안 각국은 자국의 교통 디지털화 전략을 발표한다. 아세안 사무국은 향후 수립 예정인 ‘아세안 교통 전략 계획(2026~2060)’에 대한 일정도 공유할 계획이다.
이후 세션에서는 육상, 항공, 해상 교통 분야별로 AI 기술의 활용 사례와 도입 가능성에 대한 발표가 이어진다. 특히 해상교통이 첫 논의 대상에 오르며, 한국의 스마트 항만 기술 등도 주요 논의 주제로 떠오를 전망이다.
포럼 종료 다음 날인 9일에는 아세안 대표단과 국내 기업 간 1:1 비즈니스 미팅이 진행된다. 대표단은 국립항공박물관을 방문해 한국 항공산업의 기술 현황과 미래 전략을 견학할 예정이다.
한편, 방한 중인 말레이시아 대표단과는 10일 서울에서 ‘제5차 한-말레이시아 교통협력회의'를 열고 교통정책 및 스마트 인프라 구축에 대한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한국은 ICT 기반 스마트 인프라와 자율주행 등 기술력을 바탕으로 아세안과의 교통 협력을 지속 확대할 계획”이라며, “AI 기반 지속가능한 교통체계 구축을 위한 공동 노력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문의: 010-3280-648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