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대한민국 이차전지 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 대대적인 표준화 전략을 본격화한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13일 ‘K-배터리 표준화 포럼’을 열고, 2030년까지 이차전지 분야 국제표준 9종을 포함한 총 25종의 표준 개발 로드맵을 공식 발표했다.
이번 전략은 한국이 주도하는 글로벌 배터리 표준 체계 구축을 목표로, ▲상용 이차전지 ▲차세대 이차전지 ▲사용후(폐) 이차전지 등 세 분야를 중심으로 추진된다. 이를 통해 세계 시장의 기술 주도권을 선점하고, 배터리 자원 순환경제를 활성화한다는 계획이다.
국가기술표준원은 우선 2030년까지 국제표준 9종을 개발해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등 글로벌 표준 기구에 등록할 예정이다. 아울러 국내 산업계의 실질적 활용을 위해 국가표준 10종과 단체표준 6종도 함께 제정하여 총 25종의 표준화 체계를 완성할 방침이다.

‘K-배터리 표준화 포럼’은 국내 이차전지 관련 산·학·연 전문가들이 중심이 되어 운영된다. 포럼은 ▲기술표준 개발 협력 ▲산업계 의견 수렴 ▲국제표준화 회의 대응 등 실무적 역할을 수행하며, 국내 기술이 국제 규격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이차전지 산업은 탄소중립과 친환경 전환의 핵심 인프라로, 글로벌 표준을 선점하는 것이 곧 시장을 선점하는 길”이라며 “우리나라가 표준화 주도국으로 자리 잡기 위한 전략적 기반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전략은 특히 차세대 전지 기술로 꼽히는 전고체 배터리, 리튬황, 나트륨이온 전지 등 미래형 에너지 저장 기술을 표준화 범위에 포함시켜 눈길을 끈다. 이는 기술 경쟁력을 확보함과 동시에, 사용후 배터리의 재활용·재제조 등 순환경제 생태계 조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정부의 추진 계획이 국가 에너지 안보 및 산업 생태계 전반의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것이라 평가한다. 글로벌 배터리 시장은 전기차 수요 확대와 함께 급성장 중이며, 기술 규격이 국제 표준으로 인정받을 경우 한국 기업의 수출 장벽 완화 및 시장 확대 효과도 예상된다.
산업계에서는 “표준화는 단순한 기술 문제가 아니라 산업 패권 경쟁의 시작”이라며 “정부의 이번 전략이 실질적인 기술표준 확보로 이어질 수 있도록 민관이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가기술표준원은 올해 하반기부터 각 표준 개발 과제를 본격 착수하고, 국제회의 참가 및 기술위원회 활동을 강화할 예정이다. 특히 주요 글로벌 기업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 워킹그룹을 구성해 국제표준 제안서 작성, 시험인증 체계 정비, 기술 검증 절차 개선 등 실질적인 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이번 정부의 이차전지 표준화 전략은 ‘제조 강국’에서 ‘표준 주도국’으로의 전환 신호탄이라 할 수 있다. 표준화는 기술 경쟁의 핵심이며, 한국이 이차전지 산업의 중심축으로 자리 잡기 위한 필수 과제다. 국가, 산업계, 연구기관이 긴밀히 협력할 때, K-배터리는 명실상부한 세계 표준의 기준점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