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 반다이크 갤러리에서 김재이 작가의 두 번째 개인전이 11월 15일 열린다.
지난해 뉴욕 첫 개인전에서 전 작품 매진을 기록한 이후 이어지는 전시로 기대가 크다. 이번 전시는 뉴욕의 토마스 반다이크 갤러리와 제주에 있는 갤러리 제주가 협업해 도시와 섬을 잇는 감성을 보여 준다. 서울과 제주, 그리고 뉴욕을 연결하며 작가가 걸어온 삶의 궤적이 전시 공간 전반에 담긴다.
전시 제목은 평화의 섬이다. 김재이 작가는 서로 다른 삶을 살아온 두 소녀의 이야기를 옴니버스 형식으로 풀어낸다. 빠르게 돌아가는 도시에서 살아야 했던 작고 내성적인 피에로 소녀와 척박한 섬에서 어린 동생들을 먹여 살리기 위해 바다로 뛰어들어야 했던 어린 해녀의 삶을 각기 다른 색채와 배경으로 그린다. 두 소녀의 삶은 정반대지만 작품 속에서는 서로를 향해 공감을 이루며 만난다.
피에로 소녀는 작가 자신의 어린 시절 자화상에서 출발했다. 어린 해녀는 작가가 서울의 삶을 뒤로하고 제주로 내려간 뒤 만난 해녀들에 대한 탐구와 존경에서 비롯됐다. 두 소녀는 서로 다른 시대와 환경에서 태어났지만 결국 작가의 시선 속에서 ‘조우’했고 그곳에서 감정의 흐름이 이어졌다.
김재이 작가는 피에로 소녀 연작에서는 과감한 색채로 내면의 성장통을 격정적으로 표현한다. 반면 제주 해녀를 그릴 때는 절제된 색채와 고요한 정서를 사용한다. 이는 서울에서의 젊은 시절과 제주에서 시작된 작품 활동 사이의 간극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격정과 서정을 오가는 표현은 작가가 스스로 물음과 답을 주고받으며 정체성과 자유를 찾아가는 과정처럼 읽힌다.
두 이야기의 기반에는 끝내 버리지 않았던 희망이 흐른다. 젊은 시절 수많은 좌절을 겪고도 이를 딛고 2017년 미국으로 건너가 순수 미술화가로 데뷔한 작가의 삶이 작품 속 질문의 출발점이다. 어린 시절의 꿈이 무엇이었는지 작가는 끊임없이 묻는다. 그의 작품이 관람자에게 강한 공감과 울림을 주는 이유도 이 질문이 우리 안에 묻혀 있던 소망을 다시 끄집어내기 때문일 것이다.
토마스 반다이크 갤러리는 이번 전시를 통해 1950년대의 어린 해녀와 1980년대의 피에로 소녀 이야기가 2025년 뉴욕에서 다시 살아난다고 밝혔다. 관람객은 어려움 속에서도 포기하지 않았던 두 소녀의 강인함을 가까이에서 만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