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구청역 인근의 개인 트레이닝 스튜디오 ‘무브먼트 케이(Movement K)’. 겉보기엔 PT 센터처럼 보이지만 안으로 들어가면 느낌이 다르다. 화려한 머신보다, 몸의 가동범위·균형·호흡을 점검하는 공간이 먼저 눈에 들어온다. 대표 강민걸 트레이너는 이곳을 “움직임 전문 트레이닝 센터”라고 설명한다.
![]() ▲ 강남구청역 개인 트레이닝 스튜디오 '무브먼트 케이' 외부 간판 |
“저희는 단순한 다이어트, 근력 증가만을 목표로 하지 않아요. 좌식 생활과 반복된 자세 때문에 망가진 몸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게 핵심입니다. 말이 아니라 결과로 증명하는 곳이고요.”
![]() ▲ 사진 = 무브먼트 케이 |
강 대표는 어릴 때부터 운동을 좋아해 트레이너가 됐지만, 보디빌딩 훈련 과정에서 허리·어깨·무릎을 크게 다쳤다. 통증은 만성화됐고, 물리치료·도수치료·침 치료 등 온갖 방법을 시도했지만 효과는 늘 잠깐이었다. 그러다 동료 트레이너의 트레이닝 한 번으로 통증이 완화되는 경험을 하며 인생의 방향이 바뀌었다.
![]() ▲ 사진 = 무브먼트 케이 |
그날 이후 그는 인체 움직임과 근골격계, 신경계 기능을 공부하고 전국의 전문가를 찾아다녔다. 특히 세계적 트레이너 이도 포탈(Ido Portal)의 철학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 “운동을 가르치는 게 아니라, 사람이 스스로 제대로 움직이게 돕는 것이 진짜 트레이닝이라는 걸 깨달았어요.”
하지만 기존 헬스장 시스템에서는 그 철학을 실현할 수 없었다. “시간 단위로 수업을 파는 구조에선 몸을 진짜로 바꾸기 어렵죠.” 결국 그는 13년의 트레이너 경력을 뒤로하고, 자신의 이름을 걸고 ‘무브먼트 케이’를 오픈했다.
![]() ▲ 사진 = 무브먼트 케이 |
“스쿼트를 가르치기 전에, 그 몸이 스쿼트를 할 수 있는지부터 봅니다”
무브먼트 케이는 일반 PT처럼 곧바로 “앉아보세요, 더 내려가세요”로 시작하지 않는다. 먼저 현재 몸의 한계를 점검한다.
“사람마다 발목·고관절·척추의 가동성과 균형이 다 다릅니다. 못 앉는 건 의지가 아니라 신체의 한계 때문이에요.”
![]() ▲ 사진 = 무브먼트 케이 |
무브먼트 케이는 억지 교정 대신 신체 평가를 통해 기능적 한계를 찾아내고, 원인을 개선하는 훈련을 진행한다. 그러면 억지로 자세를 만들지 않아도 효율적인 움직임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결국 우리는 ‘모양’을 만드는 곳이 아니라 몸이 스스로 움직일 수 있도록 회복시키는 곳이에요.”
![]() ▲ 사진 = 무브먼트 케이 |
그 철학은 다이어트나 체형 교정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움직임이 좋아지면 혈액순환과 대사가 살아납니다. 그게 체지방 관리든 통증이든, 전부에 영향을 미칩니다.”
강 대표는 “교정 운동이나 통증 케어를 내세우는 곳이 많지만, 첫 세션부터 변화가 느껴지지 않는다면 근본 원인을 짚지 못한 것”이라며 “정확히 접근했다면 몸은 바로 반응한다”고 강조했다.
![]() ▲ 사진 = 무브먼트 케이 강민걸 대표 트레이닝 모습 |
무브먼트 케이에선 실제 변화가 끊이지 않는다.
– 허리 보호대를 착용하고 부축받아 들어온 30대 여성은 30분 트레이닝 후 보호대를 벗고 걸어 나갔다. 원인은 허리가 아닌 과거 발목 부상이었다.
– 전방십자인대 수술 후 무릎이 굽혀지지 않던 고객은 2개월 만에 회복했고,
– 목·어깨 디스크 수술을 받고도 재수술을 고민하던 60대 고객은 두 달 만에 통증이 사라졌다.
강 대표는 “통증에서 벗어난 순간 사람들의 눈빛이 살아나는 걸 볼 때마다 진짜 전율이 온다”고 말했다.
![]() ▲ 사진 = 무브먼트 케이 |
그는 피트니스 업계의 현실도 지적했다. “요즘 헬스장은 기구 중심, 판매 중심으로 지나치게 커졌습니다. 사람은 원래 기대어 움직이지 않아요. 호랑이를 좁은 우리에 가둬두면 본래의 능력을 잃듯, 사람의 몸도 마찬가지죠.”
이어 “문제는 나이가 아니라 패턴”이라며 “현대인은 너무 오래 앉아 있고 너무 적게 움직인다”고 말했다.
![]() ▲ 사진 = 무브먼트 케이 |
강 대표는 “운동은 거창할 필요 없다”며 “하루 30초씩 쪼그려 앉기, 문틀에 매달리기, 30분 걷기 같은 동작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조언한다. “몸은 하루의 움직임 패턴에 반응합니다. 작은 변화가 쌓여 기능이 살아나요.”
다만 “가벼운 움직임에도 통증이 있다면 참고 버티지 말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라”고 강조했다.
![]() ▲ 사진 = 무브먼트 케이 |
현재 무브먼트 케이는 1:1 맞춤 트레이닝, 소수 정원 그룹 수업, 식단·수면·스트레스까지 포함한 라이프스타일 케어를 진행하고 있다. 그는 “멀리서 찾아오는 분들이 늘어나 책임감이 크다”며 “같은 철학을 가진 전문가를 양성하고, 지점을 확장하며, 온라인 교육 플랫폼을 통해 ‘움직임의 본질’을 널리 전하고 싶다”고 말했다.
![]() ▲ 사진 = 무브먼트 케이 |
“무브먼트 케이가 단순한 PT샵이 아니라 ‘몸이 다시 움직이기 시작하는 기준’이 되었으면 합니다.” 그는 미소 지으며 덧붙였다. “결국 사람은, 잘 움직일 수 있어야 합니다.”
![]() ▲ 사진 = 무브먼트 케이 |
강민걸 대표의 철학은 단순한 운동 지도를 넘어, 몸의 본래 기능을 되찾는 회복의 과정에 가깝다. ‘무브먼트 케이’가 만들어갈 건강한 움직임의 변화가 앞으로 더 많은 사람들의 일상에 스며들길 기대해 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