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왕의 군대 대신, 하나님의 손을 의지하다
불확실성이 일상이 된 시대다. 사람들은 보험을 들고, 네트워크를 만들고, 권력과 자원을 의지한다. 그러나 믿음의 사람 에스라는 전혀 다른 선택을 했다. 바벨론에서 예루살렘으로 귀환하는 대장정의 길목, 그는 왕의 군사 호위를 거절했다. 이유는 단 하나였다.
“우리 하나님은 그를 찾는 모든 자에게 선을 베푸시며, 그를 떠나는 자에게는 그 권능과 진노를 내리신다”(에스라 8:22).
그는 이미 왕 앞에서 그렇게 말했고, 그 말에 책임지는 신앙인의 길을 택했다.
에스라는 현실적 계산보다 신앙의 일관성을 택했다.
그에게 믿음은 단순한 이상이 아니라 실제적 선택이었다.
왕의 도움을 받는다면 안전했을지 모르지만, 그 순간 그는 ‘하나님이 우리를 지키신다’는 증언을 스스로 무너뜨리게 된다.
그는 “아하와 강가”에서 금식을 선포하며, 하나님의 손길에 모든 것을 맡겼다.
그 금식은 단순한 종교행위가 아니라 ‘믿음의 선언’이었다.
인간의 보호를 거절한 것은 무모함이 아니라, 하나님에 대한 철저한 신뢰의 용기였다.
에스라는 제사장들에게 금과 은, 성전 기물을 맡긴다.
“너희는 여호와께 거룩하고, 이 그릇도 거룩하다.”
그의 말에는 단호함과 거룩한 책임의식이 담겨 있다.
하나님께 드려진 것은 아무리 세속적 가치가 있어도, ‘거룩한 소유’로 다뤄져야 한다.
이 장면은 신앙 공동체의 신뢰 구조를 보여준다.
‘맡긴다’는 것은 ‘포기’가 아니라, ‘하나님의 질서에 순복하는 행위’다.
우리가 신앙 안에서 서로를 신뢰할 수 있을 때, 그 공동체는 이미 하나님의 손 안에 있다.
하나님은 그들의 금식과 기도를 들으셨다.
“그 손이 우리를 대적과 매복하는 자의 손에서 건지셨다.”
여정의 끝에서 그들은 실제로 안전하게 예루살렘에 도착했다.
믿음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결과는 분명히 드러났다.
하나님께 맡긴 길은 결국 보호와 평안의 길로 바뀐다.
믿음의 사람은 기적을 ‘기다리는 자’가 아니라, 신뢰 속에서 기적을 걷는 자다.
예루살렘에 도착하자마자 그들은 하나님께 번제를 드린다.
감사는 지체되지 않는다.
하나님께 받은 인도와 보호를 즉시 예배로 돌려드린다.
이것이 신앙의 완성이다.
삶의 여정이 아무리 험해도, 감사로 마무리되는 인생은 복된 여정이다.
감사 없는 신앙은 기록되지 않는다.
하나님의 손을 경험한 사람은 반드시 감사로 응답한다.
에스라 8장은 믿음의 순환을 보여준다.
맡김 → 신뢰 → 보호 → 감사.
그 흐름 속에서 신앙은 단단해지고, 공동체는 거룩하게 세워진다.
오늘의 우리는 얼마나 ‘하나님의 손’을 신뢰하고 있는가?
눈앞의 안전망을 내려놓고, 보이지 않는 하나님의 손에 인생의 여정을 맡길 때,
비로소 신앙은 진짜 현실이 된다.
왕의 군대보다 강한 것은 믿음의 손길이다.
그 손은 여전히 오늘의 믿는 자들을 평탄한 길로 인도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