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 ‘매수컨설팅 계약서’ 도입… 토지 거래의 패러다임이 바뀐다

국내 최초 ‘매수컨설팅 계약서’ 도입… 토지 거래의 패러다임이 바뀐다

[부동산정보신문] 박두호 선임기자=디지털 산업화의 가속으로 부동산 거래의 중심이 완전히 달라지고 있다.
네이버부동산, 직방, 다방, 디스코 등 온라인 플랫폼이 정보의 문을 열어젖히며 소비자는 이제 ‘중개사의 고객’이 아니라 ‘스스로 판단하는 주체’로 변했다.

그러나 그만큼 혼란도 커졌다.
정보는 넘쳐나지만, 허가 가능성·개발 제약·도로 문제 같은 핵심 요소를 직접 검증할 수 있는 사람은 드물다. 클릭 몇 번으로 집은 살 수 있어도, 토지 거래만큼은 여전히 복잡한 ‘전문 영역’이다.


“토지는 클릭으로 사는 상품이 아니다”

지난해 충북에서 전원주택 부지를 매입한 50대 박모 씨는 “지금은 인터넷에 다 나오니까 쉬울 줄 알았다”고 말했다. 그러나 계약 후 알게 된 사실은 땅이 사유지 도로에 막혀 건축허가가 불가능하다는 것.

> “땅은 사진만 보고 살 게 아니더라고요. 뭘 봐야 하는지도 몰랐죠.”

 

토지는 단순히 싸다고 좋은 게 아니다.
입지, 용도, 지목, 배수, 인허가 등 행정 요소가 복잡하게 얽혀 있다. 결국 ‘정보 접근력’이 아니라 ‘정보 해석력’이 성패를 가른다.

 

토지뱅크, 25년 노하우를 계약서로 체계화하다

이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것이 토지뱅크(Tozibank)의 ‘매수컨설팅 용역 계약서’다.
토지뱅크는 25년간 축적한 토지개발 및 공장 매매의 실무 경험을 기반으로, 매수인의 시간과 리스크를 동시에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계약 내용에는
① 매수 목적 분석,
② 입지 및 허가 가능성 검토,
③ 도로·배수·지목 구조 확인,
④ 예상 개발비 산정,
⑤ 법적 리스크 점검
등이 포함되어 있다. 단순 중개가 아니라, **‘매수인을 위한 전략적 컨설팅 서비스’**다.

실제 사례 – 9,900㎡(약 3,000평) 부지 매입의 성공 공식

경기도 외곽에서 물류창고 부지를 찾던 자영업자 김모 씨는 처음엔 온라인으로만 매물을 비교했다. 

여섯 곳을 방문했지만 대부분 진입도로 확보가 불가능하거나 용도지역이 맞지 않았다.
두 달이 흘렀고, 마음에 들었던 부지는 이미 팔렸다.

 

이후 토지뱅크와 매수컨설팅 계약을 맺은 그는 완전히 다른 경험을 했다.
컨설턴트가 김 씨의 업종, 예산, 차량 동선, 물류 접근성을 분석하고 인허가 가능 지역을 선별했다. 

그 결과, 9,900㎡(약 3,000평) 규모의 개발 적합 부지를 찾았고 허가 절차까지 매끄럽게 마무리됐다.

“혼자" 알아봤을 때보다 훨씬 빠르고 명확했습니다.
그냥 땅을 산 게 아니라, 사업 기반을 산 느낌이었어요.”

 

‘정보 독립’보다 중요한 건 ‘정보 해석력’

디지털화는 중개업의 종말을 뜻하지 않는다.
오히려 전문성 없는 중개업의 종말을 의미한다.
소비자는 이제 ‘누가 많이 아는가’보다 ‘누가 내 상황을 정확히 이해하는가’를 묻는다.

토지뱅크의 매수컨설팅 계약은 이 흐름을 정확히 반영했다.
매수인은 이제 단순히 땅을 사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목적에 맞는 토지를 검증받는 절차’를 밟게 된다.

 

토지뱅크, 가맹 100호점 돌파 앞두고 새로운 협업 생태계 구축

토지뱅크는 현재 가맹점 100호점 돌파를 앞두고 있다.
특히 이번 성장은 ‘매수컨설팅 계약’을 통한 공인중개사와의 협업 모델이 핵심 동력이 되었다.

매수컨설팅 고객이 토지뱅크에 의뢰하면, 본사는 입지 분석과 인허가 검토를 담당하고
지역 공인중개사는 현장 매물 확보 및 계약 실무를 진행한다.
중개사는 단순 중개수수료를 넘어 컨설팅 수익을 공유하며 새로운 수익 구조를 만들어냈다.

한 가맹 공인중개사는 이렇게 전했다.

 

> “요즘 중개업은 힘들지만, 토지뱅크와 협업하면 다릅니다.
매수 중심 구조라 고객 만족도가 높고, 계약 성사율도 확실히 높아요.”

 

토지뱅크 관계자는 “공인중개사와 상생하는 구조를 만든 것이 이번 모델의 본질”이라며
“가맹사업은 단순한 확장이 아니라, 전국 단위 토지 정보 네트워크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 장의 계약서가 바꿔놓은 건 단순한 거래 방식이 아니다.
이제 땅을 산다는 것은 감(感)이 아니라 전략(戰略)의 영역이다.
‘매수컨설팅 계약서’는 그 전략의 출발점이다.

작성 2025.11.09 19:38 수정 2025.11.09 19:40

RSS피드 기사제공처 : 부동산정보신문 / 등록기자: 박두호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