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모듈러 특별법’ 추진…AI 결합한 스마트주택 공개

공장 제작·현장 조립 방식으로 공기 단축…3,000호 공공주택에 연간 적용

 

“모듈러주택이 바꾼다”…건설현장 혁신의 새 물결
정부·LH, AI 기술 접목된 스마트 모듈러 주택 전시
공사기간 30% 단축…‘모듈러 특별법’ 제정 본격화

출처: 국토교통부

정부가 모듈러 건축기술을 본격 확산해 주택공급 속도를 높이기 위한 제도 정비에 나선다.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11월 5일부터 7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스마트건설·안전·AI 엑스포’에서 인공지능(AI) 기술과 융합된 미래형 모듈러 주택을 선보이며 관련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전시홍보관에는 삼성전자와 협업해 구현한 스마트 주거 공간이 공개됐다. 음성제어 냉장고, AI 세탁건조기, IoT 기반 침실 등 첨단 가전이 탑재된 실제 모듈러 주택(Mock-up)이 설치돼 관람객들이 공장에서 사전 제작된 주택의 완성도를 직접 체험할 수 있었다.

 

모듈러 공법은 주택 주요 구조물을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후, 현장에서 조립만으로 완공하는 ‘OSC(Off-Site Construction)’ 방식이다. 전통적인 현장 시공 방식에 비해 공사 기간을 20~30% 단축할 수 있고, 고소 작업이 줄어 산업재해 위험도 낮다. 날씨와 같은 외부 변수에도 영향을 덜 받아 품질 관리에 유리하다는 평가다.

 

특히 숙련 인력 부족과 건설현장 고령화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자동화 기반의 공장 제작은 인력난 해소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정부는 지난 9월 발표한 ‘9.7 주택공급 확대방안’의 후속조치로 ‘(가칭) OSC·모듈러 특별법’ 제정에 착수했다. 법안은 ▲설계·감리·품질 기준 법제화 ▲생산 및 건축물 인증제 도입 ▲현장 중심 규제 완화 ▲진흥구역 인센티브 제공 등 제도적 기반 마련을 골자로 한다. 이를 통해 민간 기업의 참여 확대와 산업 기반 조성을 유도할 방침이다.

 

국토부는 이와 별도로 약 250억 원 규모의 연구개발(R&D)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하남 교산지구에는 20층 이상, 총 400세대 규모의 실증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며, 고층화에 필수적인 ‘3시간 이상 내화 성능 확보’ 기술도 병행 연구 중이다. 또 싱가포르 등에서 활용 중인 PPVC(Prefabricated Prefinished Volumetric Construction) 공법을 국내에 적용해 기술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

 

국토부는 매년 약 3,000호 규모의 공공주택을 모듈러 방식으로 발주해 민간 시장의 마중물 역할도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생산 규모 확대와 가격 안정화를 동시에 달성하겠다는 전략이다.

 

김규철 국토부 주택토지실장은 “모듈러 기술은 주택 품질과 생산성을 함께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건축 패러다임”이라며 “정부는 공사 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이면서 국민이 고품질 주택을 빠르게 체감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모듈러 주택은 단순한 시공 혁신을 넘어, 주거 안정과 건설 산업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기술로 자리잡고 있다. 정부의 제도적 뒷받침과 민간의 기술혁신이 맞물릴 경우, 국내 주택시장은 ‘빠르고 안전한 스마트 주택 시대’로 본격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문의: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fland

        블로그: https://blog.naver.com/wfland20 

작성 2025.11.08 17:32 수정 2025.11.10 09:31

RSS피드 기사제공처 : 한국AI부동산신문 / 등록기자: 이용숙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