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의 울음은 훈육의 실패가 아니라, 연결의 요청이다.”
유치원 첫날, 문 앞에서 엉엉 우는 아이를 안아본 적이 있을 것이다. 아이는 낯선 교실보다 부모의 품을 택하며 세상의 안전을 시험한다. 많은 부모는 그 순간 ‘우리 아이가 너무 예민한가?’, ‘사회성이 부족한가?’라고 자책한다. 그러나 심리학자 디애나 아이버그(Dr. Sheila Eyberg)가 개발한 PCIT(Parent-Child Interaction Therapy)는 이렇게 말한다. “문제는 아이의 울음이 아니라, 부모의 반응이다.”
PCIT는 아이의 ‘문제행동’을 교정하는 치료이지만, 그 시작점은 부모가 아이의 감정 신호를 읽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이 치료는 단순한 훈육 지침이 아니라, 부모와 아이의 관계 언어를 새로 쓰는 과정이다. 아이의 울음, 떼쓰기, 말 안 듣기—all of these are communication attempts. PCIT는 부모에게 ‘말보다 반응이 먼저’라는 새로운 언어법을 가르친다.
유치원 적응의 불안, 아이만의 문제가 아니다
3세 전후의 영유아에게 유치원 적응은 작은 사회로의 첫걸음이다. 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이 시기 아이의 35~40%가 유치원 적응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그중 상당수는 공격성, 퇴행, 언어적 저항, 수면 거부 등의 행동으로 불안을 표현한다(Thompson, 2019, Journal of Early Childhood Research). 문제는, 이러한 불안을 단순히 ‘떼쓰기’로 해석할 때 생긴다. 아이의 두려움에 부모가 “그만 울어”라고 대응하면, 아이는 불안을 더 크게 느낀다.
반면, 부모가 “처음이라 무서울 수도 있겠구나”라고 공감해 줄 때, 아이의 뇌에서 안정 호르몬인 옥시토신이 분비되어 불안 반응이 줄어든다(Dozier & Bernard, 2017,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즉, 유치원 적응의 열쇠는 부모의 언어 반응 패턴에 있다. PCIT는 바로 이 지점을 과학적으로 교정한다.
PCIT, ‘훈육’이 아닌 ‘관계 조율’이다
PCIT는 미국심리학회(APA)와 세계보건기구(WHO)가 모두 인정한 가장 효과적인 영유아 행동치료법 중 하나다. 기존의 훈육 방식이 ‘어떻게 통제할까’에 초점을 맞췄다면, PCIT는 ‘어떻게 연결할까’를 묻는다. 치료는 두 단계로 구성된다.
Child-Directed Interaction (CDI) – 아이 주도의 놀이 속에서 부모가 ‘칭찬, 묘사, 모방’을 통해 아이의 긍정 행동을 강화한다.
Parent-Directed Interaction (PDI) – 부모가 명확하고 일관된 지시와 결과를 통해 아이가 ‘규칙’을 배우도록 돕는다.
실험 연구(Thomas et al., 2020, Journal of Family Psychology)에 따르면, PCIT를 받은 부모-자녀 쌍은 공격성 행동이 70% 감소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가 60% 완화 아이의 사회적 적응 점수가 두 배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 효과는 특히 3~6세 아동에서 두드러진다. 왜냐하면 이 시기 아이의 뇌는 전두엽 발달이 활발하여 ‘정서 조절’과 ‘공감’의 학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PCIT는 행동을 고치는 것이 아니라 뇌의 감정 조절 회로를 재구성하는 훈련이다.
PCIT가 특히 효과적인 문제행동 3가지
연구 문헌에 따르면 PCIT는 다음의 영유아 문제행동에 가장 큰 효과를 보인다.
① 공격적 행동(Aggressive Behaviors)
아이들이 친구를 때리거나 밀치는 행동은 자율신경계의 과도한 각성 때문이다. PCIT를 받은 아이는 ‘멈추기(Stop)’ 신호를 인식하는 반응 시간이 짧아지며, 행동 통제 능력이 향상된다(Eyberg et al., 2019).
② 분리불안(Separation Anxiety)
유치원 등교 시 울음이 심한 아이에게 PCIT는 ‘부모의 일관된 반응’으로 안전감을 심어준다. 부모가 “엄마는 네가 울어도 괜찮아, 곧 올게”라고 안정된 어조로 반응하면, 아이의 불안 수준이 현저히 낮아진다(Boggs et al., 2018, Child Psychiatry & Human Development).
③ 부모-자녀 갈등(Parent-Child Conflict)
PCIT는 부모가 감정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구체적 언어로 경계를 설정하도록 돕는다. 예를 들어 “그만해!” 대신 “이 블록은 지금 치워야 해”라고 말하는 식이다. 이는 아이에게 예측 가능성을 제공하며, 혼란을 줄인다.
“아이의 세상 적응력은, 부모의 감정 조절력에서 시작된다.”
유치원 적응은 단순히 ‘아이의 사회성 훈련’이 아니다. 그것은 부모가 감정의 언어를 배우는 시간이다. 아이의 마음은 스펀지처럼 부모의 반응을 흡수한다. “괜찮아, 네가 느끼는 걸 알아”라는 한마디는 세상의 안전을 경험하게 하는 첫 언어다. PCIT는 부모에게 완벽함을 요구하지 않는다. 다만 반응의 일관성과 감정의 따뜻함을 가르친다. 유치원 문 앞에서의 그 한마디가, 아이의 평생 정서 기반을 바꾸는 시작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