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 구글과 1조원대 AI 협력임박… 시리 개편의 전략적 의미
- 맞춤형 제미나이 모델 도입으로 ‘애플 인텔리전스’ 경쟁력 강화 노려
애플이 차세대 시리 개편을 위해 구글의 초대형 언어모델 ‘제미나이(Gemini)’를 맞춤형 형태로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번 협상은 연간 약 10억달러 규모로, 2026년 출시 예정인 ‘시리 리뉴얼 프로젝트’의 핵심이 될것으로 전망된다. 이 움직임은 애플이 늦은 AI 진입에도 불구하고 생태계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전략적 포석으로 해석된다.
애플은 자사 인공지능 프레임워크인 ‘애플 인텔리전스(Apple Intelligence)’ 강화를 위해 외부 모델 활용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블룸버그 보도에 따르면, 애플은 구글과 협력해 1.2조 개 파라미터를 가진 초대형 AI 모델을 시리 개편에 도입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계약이 성사될 경우, 애플은 제미나이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대화형 AI 엔진을 확보하게 된다.
이러한 행보는 AI 음성비서의 기능적 한계를 벗어나기 위한 필연적 진화로 볼수있다. 기존 시리는 단순 명령 수행에 그쳤지만, 차세대 모델은 맥락인식, 복합적 요청처리, 개인화된 응답 생성 등 고차원적 대화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AI 경쟁 구도 측면에서도 이번 협상은 주목할 만하다. 삼성전자는 이미 제미나이 기반 기능을 도입해 스마트폰 AI 경험을 차별화했으며, 마이크로소프트는 코파일럿(Copilot)을 중심으로 AI 통합 전략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에 비해 애플은 상대적으로 늦은 진입자(late mover)로 평가받아 왔으나, 구글과의 협력은 기술 격차를 단기간에 좁히려는 전략적 선택으로 해석된다.

또한 애플이 오픈AI의 챗GPT를 시리내에 제한적으로 연동한 사례가 있지만, 이는 완전한 통합보다는 ‘보조기능’ 수준에 머물러있다. 반면, 제미나이 모델의 도입은 시스템 전반에 AI를 내재화하는 단계로, 애플의 독자적 생태계내에서 자연스럽게 동작하는 형태의 AI를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흥미로운 지점은 경쟁 관계에 있던 두 거대기업이 기술 협력에 나선다는 점이다. 애플과 구글은 모바일 OS 시장에서 치열한경쟁을 이어왔으나, 초거대 AI 시대에서는 상호 의존적 파트너십이 불가피해지고 있다. 이는 ‘플랫폼경쟁’에서 ‘AI 모델경쟁’으로 시장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번 논의가 실제 계약으로 이어질경우, 애플은 단순한 기능 개선을 넘어 AI 생태계내 주도권 재편을 꾀하게 된다.
- 기술 측면에서는 구글 제미나이의 언어 이해력과 생성 능력을 통해 시리의 처리 성능이 대폭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 비즈니스 측면에서는 외부 AI 의존도를 줄이며, 자체 프레임워크 중심의 확장 전략을 강화할 수 있다.
- 시장 측면에서는 ‘하드웨어 중심기업’에서 ‘AI 플랫폼기업’으로의 전환이 가시화될 전망이다.
애플의 이번 행보는 단순한 기술 협업이 아니라, AI 경쟁 구도속 생존전략으로 해석된다. 구글 제미나이와의 협력은 애플이 AI 시장에서 본격적인 균형추를 세우는 출발점이 될 가능성이 크다. 2026년 시리의 대규모 개편이 현실화 된다면, 스마트폰 중심의 생태계 경쟁은 AI 중심의 경험 경쟁으로 새롭게 재편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