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비즈니스 자동화 전문기업 ㈜코드365(대표 이상화)는 JKGA(대표 전정섭)와 총 2,000,000달러 규모의 음성 대화형 AI 솔루션 수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제주산학융합원(원장 이남호)이 개최한 ‘2025 서귀포 바이어 상담회’ 현장에서 진행되었으며, 제주 지역 AI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신호탄으로 평가된다. 이는 제주도의 AX(AI Transformation) 대전환 기조에 따른 AI산업 육성의 주요 결과라는 해석이다.
주요 수출 아이템인 ‘에이전틱 콜 자동화플랫폼-오오링크’는 기존 일반 전화를 별도의 장치나 설치 없이 간단한 가입만으로 지능형 AI 직원역할로 업그레이드 시켜주는 솔루션으로, 고객인식 기반 맞춤응대, 결제 및 가입처리, 통화내용 실시간 분석 및 CRM연동 등을 AI가 자동화하여 처리해주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직원 추가고용없이 24시간 응대가 가능할 뿐 아니라, 외국어 지원도 가능하여 중소기업 및 수출기업의 AX전환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이 기술을 응용하여 탄생한 시니어케어 서비스 또한 수출 품목에 포함되었다. 70세 이상 연령층의 주요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전화’인 점을 착안하여, 요양보호 대상자 및 노인근로자들의 사고예방과 현황파악에 AI 전화기술을 적극 활용, 기존 담당자의 업무부하를 줄이고, 통화부터 인지, 대응에 이르기까지의 전과정을 자동화하여 센터와 시니어분들의 만족도를 모두 높일 수 있는 솔루션이다. 특히, 대화내용의 분석을 통해 치매 초기 징후를 탐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코드365 이상화 대표는 “이번 협약은 자사의 AI 기술이 해외 시장에서도 실질적인 가치를 인정받은 결과”라며 “특히, 음성 대화형 AI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 였으며, 앞으로도 더욱 혁신적인 제품을 선보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일본측 파트너인 JKGA 전정섭 대표 역시 “주식회사 코드365의 기술은 고령화 대응과 비즈니스 효율화라는 두 축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혁신 솔루션”이라며 “일본 현지 시장에 맞는 커스터마이징을 통해 공동 사업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번 협약을 이끌어낸 주식회사 코드365는 사람, AI, RPA를 연결하여 반복업무의 효율화를 이끌어 내는 것을 시작으로, 데이터기반의 자동화 의사결정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으며, 최근 개최된 IR 데모데이에서 우수한 성적을 낸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