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10월 31일 서울 용산 민주화운동기념관에서 1970년대 초반 민주화운동의 출발점이 된 청년운동 주역들을 초청해 감사패를 전달했다. 이번 행사는 민주수호청년협의회(민수청)와 민주수호전국청년학생연맹(민주수호전학련) 관계자들의 헌신을 기리고, 한국 민주화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기 위해 마련됐다.
민수청은 1971년 결성된 제야 최초의 청년 민주단체로, 이후 민주수호국민협의회(민수협)로 이어지며 재야 민주화운동의 토대를 마련했다. 민주수호국민협의회, 민주수호청년협의회, 민주수호전국청년학생연맹, 민주수호기독청년협의회 등 ‘민주수호 4개 단체’의 결성은 한국 민주화운동이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형태로 발전하기 시작한 역사적 분기점으로 평가된다.
이재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은 “4·19혁명과 6·3 한일회담반대운동 이후 ‘민주화운동’이라는 이름으로 조직된 활동은 1971년 민주수호국민협의회가 처음이었다”며 “이 단체들의 결성은 제도권 밖에서 민주화운동이 체계적으로 이뤄진 역사적 전환점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 자리에 함께한 분들은 대한민국 민주화운동의 첫 주역이자 ‘재야운동’의 개념을 현실로 만든 분들로, 이들의 뜻을 기억하고 민주화운동의 정신을 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행사에는 민수협의 정수일, 전대열, 박영석, 송수일 선생과 민주수호전학련의 이신범 선생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민주화운동기념관 전시 공간을 둘러보며 당시의 기억을 나누고, 민주주의의 의미를 되새겼다.
이날 행사에서는 민주화운동 관련 사료의 보존과 기록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도 이어졌다. 이신범 전 국회의원은 1980년대 미국 체류 시절 한국 민주화운동 관련 자료의 추가 기증 의사를 밝혔고, 정수일 선생은 전민련 신문과 민통련 관련 자료, 사진 등을 직접 전달하며 “이 공간이 우리 세대의 투쟁과 희생을 잊지 않게 해주는 살아 있는 역사 교육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