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하 KISTI, 원장 이식)은 오는 11월 6일(목) 서울 코엑스 그랜드컨퍼런스룸(401호)에서 ‘2025 미래유망기술컨퍼런스’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로 20회를 맞은 이번 행사는 국내 최대 규모의 미래 예측 기반 과학기술·산업 컨퍼런스로, 지난 20년간 산·학·연·정 관계자들에게 과학기술 혁신 방향과 산업 트렌드에 대한 심층적 통찰을 제공해왔다.
올해 주제는 ‘기후위기 대응 미래유망기술(Human & AI United for Climate Action)’로, 기후위기를 극복하고 이를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전환하기 위한 첨단 과학기술의 방향성을 모색한다.
특히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인간의 전문적 통찰과 인공지능(AI)의 분석 역량을 결합해 도출한 미래 기술 전망이 발표된다.
KISTI는 자체 개발한 ‘지능형 미래분석체계’를 통해 전 세계 과학기술 데이터를 AI로 분석하고, 이를 전문가 검증과 결합해 미래유망기술과 유망 사업화 아이템을 선정했다.
기조강연은 JTBC <차이나는 클라스>, EBS <취미는 과학> 등으로 대중에게 친숙한 서울대학교 박정재 교수가 맡는다.
그는 ‘인류세를 말하다 – 기후변화와 생태계 위기’를 주제로, 인류 활동이 지구 환경을 좌우하는 ‘인류세(Anthropocene)’ 시대의 의미와 대응 과제를 제시할 예정이다.
경희대학교 유가영 교수는 ‘기후변화와 자연 기반 해법(NbS) – 토양 탄소 저장과 격리’를 주제로, 토양의 탄소 저장 능력을 활용한 자연 기반 기후대응 전략을 소개한다. LG CNS 조헌혁 데이터센터사업단장은 ‘AI 시대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절감 전략’을 발표하며, 급증하는 전력소비를 줄이기 위한 친환경 기술 사례를 공유한다.
이밖에도 권태훈 KISTI 글로벌R&D분석센터 팀장은 ‘UN SDG 관점에서 본 한국의 기후변화 대응 R&D’를 주제로 세계 주요국의 과학기술 데이터를 비교·분석해 한국의 연구 현황을 진단한다. 김소영 KISTI 미래기술분석센터장은 ‘PROJECT EARTH : 기후전환을 이끄는 미래유망기술’을 통해 AI 기반 분석으로 도출한 ‘기후 전환 유망기술 12선’을 공개한다. 여기에 △고효율 태양광 열병합 발전 △광촉매 이종접합 기반 에너지 전환 △지속가능한 대체육 △가뭄 모니터링 및 예측 기술 등이 포함된다.
또한 윤성욱 KISTI 기술사업화연구센터 팀장은 ‘기후위기와 기술의 경계를 넘어, 주목해야 할 글로벌 사업화 아이템’을 발표하며 △수소 무역을 실현하는 암모니아 크래킹 △이산화탄소로 연료를 생산하는 전자 연료 △산업 부산물 기반 혼합재 시멘트 등 10대 유망 사업 아이템을 제시한다.
이식 KISTI 원장은 “이제는 경제성장과 환경보호가 상충하는 시대를 넘어, 첨단 기술을 통해 두 가치를 함께 실현하는 ‘탈동조화’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며 “이번 컨퍼런스가 기후위기를 위협이 아닌 혁신의 기회로 전환하는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용어 해설
-
인류세(Anthropocene): 인류의 활동이 지질학적·생태학적 변화를 주도하는 새로운 지질시대를 의미한다.
-
자연 기반 해법(NbS): 자연의 기능을 활용해 기후변화 대응, 생태계 보전, 생활환경 개선을 동시에 추구하는 접근 방식.
-
SDG(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2015년 UN이 채택한 17개 지속가능발전목표 중 SDG13은 ‘기후변화 대응’을 의미한다.
기관 소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과학기술 R&D 인프라를 체계적으로 구축해 국가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는 정부출연연구기관으로, 데이터 기반 과학기술 혁신과 AI 분석 역량을 활용한 미래 예측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행사 홈페이지: https://www.emergingtech.re.kr/
웹사이트: http://www.kisti.r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