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덕 장관, 공인중개사와 마주 앉아 중개시장 현안 청취

국토교통부 김윤덕 장관이 부동산 중개업계와의 소통에 나섰다. 10월 23일 서울 정동에 위치한 국토발전전시관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김 장관은 중개업계의 어려움을 직접 듣고, 중개시장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이번 간담회는 최근 정부의 주택시장 안정 대책에 따른 중개업계의 대응 방향을 포함하여, 현장에서 체감하는 고충과 제도 개선 필요성 등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중개업계 대표들은 과태료 부과 기준의 합리화, 중개업 과당경쟁 방지책 마련 등을 요청했으며, 최근 중개업 폐업 증가와 같은 구조적 문제점들도 함께 제기했다.
김 장관은 “중개업계의 어려움을 충분히 공감하고 있다”며 “중개시장이 활기를 되찾을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주택시장 안정 대책이 거래의 투명성과 신뢰를 높이는 계기가 되도록, 중개업계의 협조도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특히 김 장관은 부동산 중개업의 미래 방향으로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신기술과의 융합을 강조하며, “중개업이 단순한 중개를 넘어 종합부동산서비스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부동산 중개산업은 약 11만 명의 개업 공인중개사가 활동 중이며, 대부분이 개인사업자(98.2%)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2023년 기준 전체 매출은 약 5.4조 원으로, 사무소당 평균 매출은 5천만 원 수준이다. 거래 유형별로는 아파트의 경우 약 90%가 공인중개사를 통해 거래되고 있으며, 다가구·다세대는 약 60%, 토지는 약 22%의 거래율을 보이고 있다.
공인중개사 자격시험은 매년 20만 명 내외가 응시하지만, 합격자는 약 2만 명 수준으로 합격률은 10%에 불과하다. 협회는 약 11만 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국 단위로 조직이 구성되어 있다.
정부는 이번 간담회를 시작으로, 중개업계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문의: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flan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