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랑스 사회학자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 가 제시한 개념인 ‘아비투스(Habitus)’ 는 개인이 사회 속에서 체득한 사고방식, 태도, 가치관, 행동양식의 총체를 의미한다. 이는 단순한 성격이 아니라, 경험을 통해 형성된 ‘행동의 프레임’ 이며, 저자는 이를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후천적으로 습득·강화할 수 있는 내면의 자본 으로 본다. 즉, 아비투스는 개인의 성장과 사회적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보이지 않는 힘’ 이다.
아비투스, 후천적으로 형성되는 ‘사회적 이동 자본’
저자는 아비투스를 자신의 선택과 노력을 통해 새롭게 구성할 수 있는 역량으로 정의한다.
이것은 환경이 만든 결과물이 아니라, 환경을 바꾸는 능력이다.
즉, 태어날 때부터 정해진 운명에 순응하는 것이 아니라, 내면의 자본을 훈련하여 사회적 궤적을 바꿀 수 있는 가능성을 말한다.
아비투스는 단순히 ‘성공 습관’을 넘어, 사고방식과 행동 패턴을 바꾸는 자기 구조화의 힘이다.
성공과 품격을 완성하는 7가지 아비투스 자본
저자는 개인의 성공을 이끄는 7가지 아비투스 자본을 제시한다.
심리 자본: 자기 효능감, 회복탄력성, 긍정적 사고 등 마음의 근력을 의미한다. 실패 앞에서도 다시 일어서는 내면의 힘이다.
신체 자본: 건강, 체력, 외모 관리 등 모든 성취의 물리적 기반이다. 꾸준한 관리가 곧 실행력이다.
문화 자본: 예술·문학·미학 등 교양을 통해 타인과 상황을 이해하고 표현할 줄 아는 능력이다.
지식·경제 자본: 전문 지식과 재정적 안정성, 즉 실질적 생존력이다. 다른 모든 자본의 기반이 된다.
언어 자본: 어휘력, 표현력, 설득력 등 말과 글로 신뢰를 형성하는 힘이다.
사회 자본: 신뢰 기반의 네트워크와 평판으로, 기회의 문을 여는 열쇠다.
정서 자본: 공감력, 감정 조절, 관계 유연성으로, 협력과 시너지를 만드는 정서적 지능이다.
이 7가지 자본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균형 있게 발전할수록 개인의 영향력은 커진다.
내면의 자본은 순환하며 성장한다
아비투스는 한 번 쌓으면 끝나는 자산이 아니라, 경험을 통해 지속적으로 재생산되는 자본이다.
마치 기업이 영업이익을 배당하지 않고 자본에 편입시켜 성장 동력을 강화하듯,
개인 역시 자신의 아비투스를 축적·확장해야 한다.
심리적·문화적·사회적 자본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선순환을 만들 때,
아비투스는 변화의 시작이자 추진력이 된다.
또한, 저자는 연대(連帶)의 가치를 강조한다.
아비투스는 개인적 성취로 완성되지 않는다.
서로의 자원을 공유하고 지지하는 공동체적 상호작용 속에서 강화된다.
이 연대는 도덕적 미덕이 아니라, 내면의 자본을 실질적 힘으로 전환시키는 촉매제다.
결론 – 내면의 자본은 평생 축적해야 할 성장 동력이다
아비투스는 타고난 재능이 아니라, 의식적 훈련과 실천을 통해 만들어지는 자산이다.
이 자산은 한 사람의 품격을 형성하고, 공동체 속에서 더 큰 성장의 토대가 된다.
중요한 것은 ‘지금 얼마나 갖추었는가’가 아니라,
얼마나 꾸준히 축적하고 순환시키는가이다.
개인의 성공과 사회의 성장을 함께 견인하는 힘, 그것이 바로 아비투스다.
더 많은 정보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