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한강신도시 ‘에이미잉글리시영어교습소’ 에이미 원장 “영어보다 ‘공부하는 힘’을 먼저 가르칩니다”

스스로 배우고 깨닫는 힘을 키우는 자기주도 훈련소

▲ 김포 마산동 한강신도시 '에이미잉글리시 영어교습소' 에이미 원장 수업모습

 

기자가 김포 마산동 한강신도시에 위치한 ‘에이미잉글리시(AMY ENGLISH)영어교습소’를 찾은 이유는 단순했다. 이곳은 이름만 보면 일반적인 영어 교습소 같지만, 실제로는 아이들이 스스로 공부하는 힘을 길러주는 자기주도 학습의 훈련소로 알려져 있었기 때문이다.

 

▲  사진 = 에이미잉글리시 1:1 코칭

 

문을 열자마자 느껴지는 분위기는 달랐다. 영어 단어가 아닌 ‘공부의 본질’에 대한 문장들이 벽면에 붙어 있었다. 에이미 원장은 “이곳은 영어 학원이 아니라 공부의 본질을 배우는 곳이에요. 아이들이 스스로 배우는 동기를 만들어주는 게 제 역할입니다”라고 말했다.

 

▲ 사진 = 에이미잉글리시 학생들의 주도형 수업

 

에이미잉글리시(AMY English)’라는 이름에는 단순한 영어 학습 그 이상의 의미가 담겨 있다. ‘AMY’는 원장인 에이미의 영어 이름이자, Achievement Motivation of Yourself (자발적인 학습 성취 동기)의 약자이기도 하다.

즉, 아이들이 스스로 목표를 세우고 성취해 나가는 내적 동기를 키워주겠다는 뜻이다.

 

▲ 사진 = 에이미잉글리시 학생들의 주도형 수업

 

에이미 원장은 학창시절 학원을 다닌 적이 없었다. 스스로 계획을 세워 공부했고, 대학 시절엔 전액 장학금을 받으며 조기졸업까지 했다. “저는 공부를 억지로 한 적이 없었어요. 스스로 계획하고 실행하는 게 재미있었죠. 그때 느낀 건, 공부는 ‘시키는 것’이 아니라 ‘깨닫는 것’이라는 점이었어요.”

 

그 경험은 지금의 교육 철학으로 이어졌다. 그녀는 아이들에게 단순한 ‘영어 실력’보다 공부를 즐기는 힘, 자기주도적인 사고 습관을 심어주는 데 집중한다.

 

▲ 사진 = 에이미노트

 

교습소의 상징은 ‘에이미노트’.

단순히 숙제를 기록하는 노트가 아니라, “왜 공부하는가 → 무엇을 공부할 것인가 → 어떻게 점검할 것인가”의 흐름이 한 권 안에서 순환되도록 설계된 워크북이다.

“아이들이 수업에서 배운 순서를 그대로 자기 노트에서 재현하고, 그걸 제가 피드백하면 다시 아이들의 공부로 돌아가요. 이 상호작용이 꾸준히 이어지면, 결국 아이가 스스로의 공부를 즐겁게 설계할 수 있게 됩니다.”

 

에이미 원장은 수업의 핵심을 ‘관찰’과 ‘보살핌’이라고 말한다.

“아이들이 ‘왜’ 모르는지를 눈으로만 보는 게 아니라 마음으로 읽어내야 해요. 공부는 결국 사람 대 사람의 일입니다.” 그녀는 매일 아이들의 태도, 표정, 말투를 관찰하며 작은 변화를 놓치지 않는다.

 

▲ 사진 = 에이미잉글리시

 

그녀는 “변화는 언제든 가능하다”는 믿음을 증명한 순간을 잊지 못한다. 초등 4학년 남학생 한 명이 있었다. 공부에 전혀 흥미가 없고, 학습 습관도 없던 아이였다.

하지만 ‘왜 공부해야 하는가’라는 질문부터 함께 고민하며 루틴을 만들자, 놀라울 만큼 달라졌다. “이 친구가 결국 서울대에 합격했어요. 사실 처음엔 공부를 포기했던 아이였죠. 하지만 어릴수록 언제든 바뀔 수 있습니다. 방법을 몰랐던 것뿐이에요.”

 

에이미 원장은 규모 확장보다 깊이 있는 교육을 지향한다. “대형 학원은 아이 한 명 한 명을 세밀하게 보기가 어렵죠. 저는 지금처럼 한 명 한 명의 성장 과정을 오래 지켜보고 싶어요.”

 

▲ 사진 = 에이미잉글리시

 

그녀의 꿈은 단순한 학원 확장이 아니라, 같은 철학을 공유하는 원장들과 함께하는 소형 교습소 네트워크다. “규모가 작더라도 진심으로 아이를 가르치는 곳이라면, 그게 진짜 큰 학원이라고 생각해요.” 또한 언젠가 장학재단을 세워 스스로 배우고 싶어 하는 아이들을 지원하는 것이 개인적인 목표다. “돈이든 시간이든, 정말 배우고 싶은 아이들을 돕고 싶어요. 그게 제 인생의 마지막 프로젝트일지도 몰라요.”

 

▲   사진 = 에이미잉글리시 개인별포트폴리오

 

그녀는 교육 현장을 오랫동안 지켜보며 이렇게 말한다. “입시 제도는 계속 바뀌지만, 제도의 이유나 목표를 제대로 설명해주는 교육이 부족해요. 아이들은 혼란스러워하고, 부모님들은 불안해지죠. 공교육이 방향을 제시하고, 사교육은 그걸 보완해야 합니다. 공교육이 사교육을 배제하려 하거나 반대로 사교육이 공교육을 앞서가려 해서는 안됩니다. 지금은 서로 단절돼 있어서, 아이들이 오히려 그 사이에서 길을 잃는 것 같아요.”

 

마지막으로 에이미 원장은 학부모들에게 당부했다. “아이에게 영어만 보지 마세요. 언어는 생활이에요. 결과로만 평가하지 말고, 그 아이가 얼마나 노력했는지를 꼭 봐주세요. ‘수고했어, 잘했어’라는 말 한마디가 아이를 다음 단계로 움직이게 합니다.”

 

 

김포 한강신도시의 한 교실, 작은 영어 교습소에서 시작된 변화는 단순한 영어 실력의 향상이 아니다. ‘왜 공부해야 하는가’를 스스로 깨닫게 만드는 이곳의 교육은, 앞으로의 사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보여준다.

에이미 원장의 말처럼, “공부는 결국 내가 스스로 체득하는 것”이라는 진심이 김포를 넘어 더 많은 아이들에게 전해지기를 기대한다.

 

블로그 https://blog.naver.com/amy_english_119

작성 2025.10.22 19:43 수정 2025.10.22 19:43

RSS피드 기사제공처 : 생생투데이 / 등록기자: 박성준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