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경제, '3低-3高' 위기 속 성장 엔진이 멈춘다: "이대로 괜찮은가"
[서울=한빛일보 김현기 편집장/기자] 대한민국 경제가 전례 없는 '복합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과거 고도 성장의 기적을 이끌었던 '성장 엔진'이 빠르게 식어가고 있는 가운데, 저성장, 저출산, 저투자라는 3低 구조적 난제와 고환율, 고금리, 고물가라는 3高 대외 위험이 맞물리며 한국 경제의 활력이 급격히 떨어지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현재와 같은 상황이 지속된다면 한국 경제의 '잠재성장률 0%대 고착화'는 물론, 일본식 장기 불황을 넘어선 **'역성장의 그림자'**가 현실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1. 성장의 마지노선 2% 붕괴: 저성장의 늪
2025년 한국 경제는 2%대 성장의 마지노선이 사실상 붕괴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이 우세합니다. 국내외 주요 경제 기관들은 한국의 2025년 경제성장률을 1%대에 머물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이는 과거 팬데믹이나 금융 위기 이후 반등했던 패턴과 달리, **구조적인 '체력 저하'**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점에서 심각성이 큽니다.
인구 감소와 생산성 정체: 한국 경제의 잠재성장률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인 **'노동 투입'과 '생산성'**이 동시에 약화되고 있습니다. 급격한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생산연령인구는 빠르게 줄어들고 있으며, 주력 산업의 혁신 동력 상실은 생산성 향상을 가로막고 있습니다.
내수 침체와 자영업자 몰락: 고금리 기조 장기화로 가계 부채 부담이 사상 최고 수준에 달하면서 소비 심리가 극도로 위축되었습니다. 이는 내수 시장의 침체로 이어져, 특히 고령 자영업자 및 중소기업의 폐업 도미노를 초래하며 경제 전반의 고통을 심화시키고 있습니다.
2. 고환율-고금리-고물가 '삼중고'의 습격
구조적 저성장 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한국 경제는 대외적으로 '3高(고환율·고금리·고물가)'의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환율 폭등과 외환 불안 심화: 2025년 환율은 1400원대를 넘나들며 외환 위기 당시를 떠올리게 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이는 달러화 강세와 더불어 **한국 경제의 취약성(원화 약세)**이 반영된 결과로, 수입 물가를 끌어올려 물가 상승 압력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이자 부담 폭증과 금융 리스크: 높은 기준금리는 가계와 기업의 이자 상환 부담을 눈덩이처럼 불려놓았습니다. 취약 계층과 한계 기업의 부실 위험이 커지면서 금융 시스템 전반의 불안정성이 확대되고 있다는 경고가 나옵니다.
3. 리더십 공백과 '탈(脫)한국' 러시 우려
국내 정치 불안정으로 인한 '리더십 공백' 사태가 경제 정책의 불확실성을 키우는 최대 변수로 지목됩니다. 경제 위기 징후가 감지될 때마다 과감하고 일관성 있는 정책 대응이 절실하지만, 정치 리스크가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또한, 복잡한 규제 환경과 높은 인건비 등으로 인해 국내 대기업들의 해외 투자 및 생산기지 이전(탈한국) 현상이 가속화되는 조짐이 보입니다. 이는 국내 일자리 감소와 잠재성장률 하락으로 이어지는 치명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 한국경제, 괞찮을 수 없다면 '체질 개선'이 유일한 해법
전문가들은 한국 경제가 이대로 멈춰서는 안 되며, 현 상황을 **'구조개혁의 마지막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정치권은 당장의 경제 살리기 부양책을 넘어, 노동·교육·연금 개혁 등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적 개혁에 집중해야 합니다. 또한, 기업들이 국내에서 혁신적인 투자에 나설 수 있도록 규제 대전환을 추진하고, 불확실한 대외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외환 및 금융 시스템의 방어력을 높이는 것이 시급합니다.
한국 경제의 미래는 지금 이 순간, 위기를 직시하고 근본적인 체질 개선에 나서는 용기에 달려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