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op과 아세안 팝, 그 상호작용과 미래’를 주제로 한국과 아세안의 음악 산업 전략과 시장 환경, 글로벌 협업 가능성을 논의한 ‘2025 ROUND MUSIC FORUM(라운드 뮤직 포럼)’이 10월 17일부터 18일까지 서울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이번 포럼은 KBS가 주최하고 한-아세안협력기금이 지원했으며, 외교부와 아세안 사무국이 후원했다. 서울 롯데월드타워 스카이31과 올림픽공원에서 진행된 행사에는 주아세안대표부 이장근 대사를 비롯해 아세안 10개국의 문화예술부처 관계자, 한·아세안음악위원회 위원, 외교부 및 주한 아세안 대사관 관계자 등 150여 명이 참석했다.
박장범 KBS 사장은 환영사에서 “지난 6년간 라운드 페스티벌을 통해 쌓은 경험과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KBS WORLD를 통해 ROUND가 국제문화 교류의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첫째 날에는 필리핀 음악위원 존 핀토가 ‘TikTok 세대가 만든 히트: 아세안 팝의 소셜미디어 파워’를 주제로 발표해 아세안 팝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세계 시장으로 확장된 과정을 조명했다. 이어 음악 저널리스트 임희윤은 ‘서포터에서 동반자로, 케이팝과 아세안 팝의 미래’ 발표에서 양측의 상호 영향과 협력 가능성을 짚었고, 황국찬 라운드 총괄 프로듀서는 ‘한국과 아세안 대중음악의 교감: ROUND 컬래버레이션 사례’를 통해 실제 협업 성과를 공유했다.
둘째 날에는 서울 올림픽공원에서 열린 ‘2025 서울뮤직포럼’과 연계해 세션이 진행됐다. 싱가포르의 데이비드 시오와 베트남의 꾸옥 쯔엉 응우옌이 참여한 첫 번째 세션에서는 한·아세안 음악 페스티벌의 지속 가능성과 라운드 프로젝트의 미래 유산을 주제로 논의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박석형 KBS 예능센터 CP와 신정수 LG유플러스 콘텐츠 제작센터장이 패널로 참여해 변화하는 음악 소비 환경 속 방송사와 제작사의 협력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했다.
포럼은 한국과 아세안 음악위원, 음악레이블산업협회, 음원 유통사 등 음악 산업 관계자 간 교류를 활성화하며 글로벌 협업의 가능성을 넓혔다. 행사 이후에도 인도네시아의 파뭉카스와 태국의 텔레비전 오프가 그랜드민트페스티벌 무대에 올라 관객과의 깊은 교감을 이끌어내며 한·아세안 음악 교류의 상징적인 순간을 완성했다.
라운드 뮤직 포럼은 2026년 한국과 필리핀에서 열릴 라운드 페스티벌의 성공적인 개최를 준비하는 의미도 담고 있다.
라운드 프로젝트는 KBS가 2020년 론칭한 한·아세안 뮤직 페스티벌 브랜드로, 음악을 통한 교류와 협력을 목표로 한다. 팬데믹 시기 온라인 공연으로 시작해 2023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첫 오프라인 공연을 선보였으며, 2024년 라오스, 2025년 말레이시아로 이어졌다. 국경과 언어, 문화를 넘어서는 음악 교류의 플랫폼으로 성장한 라운드는 앞으로도 아세안과 한국을 잇는 문화의 다리로 그 역할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