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여성에게 유방암은 여전히 가장 흔한 암 중 하나로 꼽힌다. 하지만 유방암은 조기 발견과 꾸준한 관리만으로도 충분히 극복 가능한 질환이다.
10월, ‘유방암 인식의 달’을 맞아 세인트조지 대학교(SGU) 의과대학이 제시한 ‘유방 건강 5대 수칙’은 모든 여성에게 실질적인 예방의 방향을 제시한다.
내 몸의 기본 상태를 기억하라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는 첫걸음은 ‘자신의 몸을 아는 것’이다. 매달 유방을 자가검진하면서 혹이나 부기, 피부 변화, 분비물 등 작은 이상 신호에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일상적인 관찰은 단순한 습관이 아니라, 병의 징후를 가장 먼저 알아차릴 수 있는 개인 맞춤형 경보 시스템이다.
정기검진은 선택이 아닌 책임
특히 40세 이후 여성은 정기적인 유방 촬영술과 전문의 검진을 꾸준히 받는 것이 중요하다.
조기에 발견된 유방암은 치료 성공률이 90% 이상으로 보고된다.
즉, 정기 검진은 단순한 ‘암 찾기’가 아니라 마음의 안정과 건강한 미래를 위한 투자다.
가족력, 무시하지 말 것
가족 중 유방암이나 난소암 병력이 있다면, 유전적 위험 인자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유전자 검사와 상담을 통해 개인의 위험도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최근엔 유전상담 서비스와 정기 검진 프로그램이 발전하면서, 맞춤형 예방 전략을 세우는 것이 훨씬 수월해졌다.
가족력은 단순한 과거가 아니라, 나의 건강을 예측할 수 있는 과학적 단서다.
일상 속 작은 습관이 큰 예방을 만든다
규칙적인 운동, 적정 체중 유지, 금주, 과일과 채소 위주의 식단은 유방암 예방의 기본이다.
특히 고지방·고열량 식단은 유방암 발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만큼 식습관 개선이 필수적이다.
완벽한 계획보다 꾸준한 실천이 중요하며, 하루 30분의 산책이라도 몸과 마음에 긍정적인 변화를 만든다.
몸의 신호를 놓치지 말자
유방암의 증상은 멍울로만 나타나지 않는다. 유방의 모양 변화, 지속적인 통증, 피부의 함몰이나 붓기 또한 주의해야 할 신호다.
이러한 변화를 느꼈다면 지체하지 말고 전문의 상담을 받는 것이 안전하다.
몸은 늘 위험을 가장 먼저 알려주는 ‘경고등’이다. 이를 무시하지 않는 것이 건강을 지키는 첫걸음이다.
세인트조지 의과대학이 제시한 유방 건강 5대 수칙은 여성 스스로 자신의 몸을 이해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실질적인 지침이다.
정기 검진과 생활습관 개선을 병행하면 유방암 발병 위험을 낮추고 조기 치료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무엇보다 ‘유방암은 두려운 병’이라는 인식을 넘어, ‘예방 가능한 질병’으로 바라보는 사회적 변화가 필요하다.
지속적인 관심과 예방 실천은 여성의 건강한 삶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유방 건강은 단 한 번의 검진으로 끝나지 않는다.
정기적인 자가 점검, 꾸준한 생활관리, 그리고 의료 전문가의 조언이 함께할 때 비로소 완전한 예방이 가능하다.
세인트조지 의과대학은 핑크리본 캠페인을 통해 모든 한국 여성이 자신의 몸을 사랑하고 돌보는 문화를 확산시키길 바란다.
작은 실천이 평생의 건강을 지킨다. 지금이 바로 그 시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