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창업 01] 창업 전, 왜 ‘망하는지’부터 알아야 한다

창업자의 70%, 5년 안에 폐업하는 현실

‘나는 다를 거야’라는 자신감이 위험한 이유

실패담에서 생존 전략을 배워야 한다



01. 창업 전, 왜 ‘망하는지’부터 알아야 한다

부제: 성공보다 실패에서 더 많이 배운다



 

“창업자의 70%는 5년 안에 폐업한다.”
이 통계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수많은 현실 창업자의 좌절 기록이다.
성공 스토리보다 실패 사례를 먼저 공부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새로운 사업을 준비하는 창업가의 모습(사진=AI제작)

 

실패를 외면하는 문화가 만든 착시

창업은 흔히 ‘자유와 성공의 길’로 포장된다.
하지만 통계는 냉정하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창업 1년 차 생존율은 60%, 3년 차는 40%, 5년 차는 30%에 불과하다.
열 명 중 일곱은 결국 문을 닫는다.


그런데도 많은 예비 창업자는 ‘나는 예외’라 믿는다. 근거 없는 자신감, 준비 없는 낙관주의가 실패를 부른다.

 

성공보다 실패에서 더 많이 배운다

성공담은 화려하지만 재현이 어렵다. 성공은 시장·타이밍·운이 맞아떨어진 결과일 때가 많다. 반면 실패담은 보편적이다. 누구나 적용할 수 있는 경고를 담고 있다.


상권 조사 없이 외식업에 뛰어들어 6개월 만에 폐업한 창업기, 퇴직금을 몰빵한 무인카페의 자금난, 광고비 과다로 자금이 마른 온라인몰.
이 사례들은 “나도 그럴 수 있다”는 자각을 안겨준다.

 

준비 없는 창업, 실패의 구조

실패의 원인은 놀랍도록 단순하다.
  ① 시장과 고객 분석의 부재,
  ② 가족과의 합의 부족,
  ③ 과도한 초기 지출,
  ④ 경험자 조언의 결핍.
이 네 가지가 반복된다.
실패는 특별하지 않다. 오히려 예측 가능한 결과다.

 

배우는 창업자가 생존한다

창업의 본질은 ‘도전’이 아니라 ‘지속’이다. 지속하려면 배워야 한다.


배우는 창업자는 남의 실패를 내 생존 전략으로 바꾼다.
실패담을 공부하고, 자금흐름을 기록하고, 멘토에게 묻는다.
가족과 합의하고, 욕심보다 계획을 세운다.
그 과정이 버팀의 힘이 된다.

 

생존은 학습의 다른 이름이다

창업은 성공을 좇는 일이 아니다. 실패를 피하는 일이다.
실패를 인정하는 순간 배움이 시작된다.
그 배움이 쌓여야 다음 시도를 견딜 힘이 생긴다.
결국, 버티는 자가 이기는 것이 아니라,
배우는 자가 살아남는다.

 

지금 필요한 건 ‘꿈꾸는 창업자’가 아니라 ‘배우는 창업자’다.
오늘 당장 할 일은 단 하나 —
내 업종에서 망한 세 가지 사례를 조사하고 그 원인을 기록하는 것.
작은 학습이 큰 생존을 만든다.

 

원문보기 : https://cafe.naver.com/funn/22654

 

작성 2025.10.21 08:51 수정 2025.10.21 10:13

RSS피드 기사제공처 : 이비즈타임즈 / 등록기자: 이수민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