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지키는 도로 안전망, 경기도 터널과 지하차도에 인공지능 관제 도입 본격화”

AI 영상분석 기반 실시간 대응 체계 구축… 화재·침수·사고 즉시 감지 부제목2

용인 문수산터널서 AI 연기감지 시범훈련 성공… 연내 화성 2개 지하차도 시범사업 추진

경기도가 도로·터널 안전관리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 도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19일 경기도는 기존 CCTV 관제방식의 한계를 보완하고, 실시간으로 사고를 인식·대응할 수 있는 AI 기반 맞춤형 도로 안전관리체계를 도입하기 위한 검토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현재 도내 터널과 지하차도의 대부분은 CCTV를 통해 관리소 관제센터에서 감시되고 있다. 그러나 경기 남부권의 경우 지하차도 2곳과 터널 14곳을 아우르는 83개의 CCTV를 사람이 직접 육안으로 확인해야 해, 사고나 이상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구조다. 이러한 한계로 인해 화재나 침수 등 긴급상황 발생 시 대응이 지연될 가능성이 제기돼 왔다.

[사진: 소방훈련사진, 경기도 제공]

이에 따라 경기도건설본부는 AI 영상분석 기술을 결합한 지능형 관제시스템을 도입해 터널과 지하차도의 상황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즉각적으로 관리사무소에 알릴 수 있는 체계를 검토 중이다. 해당 시스템은 기존 CCTV 영상에 AI 프로그램을 연동해 화재, 침수, 교통사고, 보행자 진입 등 이상 징후를 자동 탐지하고, 이를 관제화면에 즉시 송출하는 기능을 갖춘다.

 

지난 10월 15일에는 용인 문수산 터널에서 도, 소방본부, 경찰청 합동으로 AI 기반 소방훈련이 실시됐다. 이날 훈련에서 AI 시스템은 연기를 자동으로 감지해 경보음을 울리고, 상황 알림 메시지를 즉시 전송하는 등 실시간 대응 능력을 입증했다. 이를 통해 경기도는 AI 시스템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검증했으며, 향후 다중 사고 상황에서도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기존 CCTV 관제시스템의 정비 및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도는 올해 말까지 화성 지역의 천천지하차도와 숙곡지하차도 2개소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시범사업에서는 터널과 지하차도의 환경 차이를 고려해 맞춤형 AI 모델을 적용하고, 현장 여건에 따른 최적의 인공지능 감지 알고리즘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시범사업 결과를 토대로 단계적으로 도내 전체 지방도 구간으로 확대를 추진한다.

 

경기도 건설본부 도로건설과장은 “AI를 도로 유지관리 분야에 접목하면 단순한 안전관리 수준을 넘어 건설기술 혁신과 새로운 산업적 가치 창출로 이어질 것”이라며 “AI 기반 안전관리가 향후 공공인프라 유지관리의 표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경기도는 향후 지능형 교통체계(ITS), 스마트건설기술과의 연계를 통해 교통량 분석, 차량 흐름 예측, 긴급차량 우선신호 등 AI 응용기술을 도입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는 단순한 재난 대응을 넘어, 도민의 일상적 이동안전을 보장하는 지속 가능한 인프라 관리체계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경기도의 이번 AI 관제시스템 추진은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인공지능과 공공안전이 결합된 새로운 행정혁신 사례로 주목된다.
AI가 스스로 도로를 ‘지켜보는 시대’가 현실로 다가오며, 경기도는 기술과 안전이 공존하는 지능형 교통안전도시로 한 걸음 더 나아가고 있다.

 

 

 

 

 

 

 

작성 2025.10.19 23:48 수정 2025.10.19 23:48

RSS피드 기사제공처 : 라이프타임뉴스 / 등록기자: 이주연 정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