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월 18일 토요일 오후 2시, ‘2025 조선왕조 태조어진 봉안의례 재현행사’가 전주시청에서 출발해 팔달로를 지나 경기전까지 이어지며, 전주의 문화적 정체성과 역사를 시민과 관광객에게 생생하게 보여줄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전주시가 주최하고 (사)전통문화마을이 주관하며, 오랜 세월 전주가 간직한 천년의 역사와 조선왕조의 본향으로서의 위상을 알리는 전통문화 콘텐츠로 기획됐다. 행렬은 1688년(숙종 14년) 당시 경기전에 봉안된 태조어진을 서울로 옮겼다가 다시 전주로 모셔오는 과정을 충실히 재현한다. 의례는 진발의식, 봉안행렬, 정전봉안, 봉안고유제로 구성되어, 왕의 초상화를 모시는 장엄한 절차가 현대의 거리 위에 되살아난다.
태조 이성계의 어진은 단순한 초상화를 넘어 국왕의 상징 그 자체로 여겨졌다. 조선시대에는 총 26점이 제작되었지만, 오늘날 전주 경기전 내 어진박물관에 보관된 한 점만이 남아 있으며, 이 유일본은 2012년 보물에서 국보로 승격되었다. 이번 재현행사는 이러한 문화재적 가치를 시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뜻깊은 시간으로 마련됐다.
행사는 전주시청 앞 노송광장을 주정소(왕이 행차 중 잠시 머무는 곳)로 지정해 진발의식으로 시작한다. 이후 봉안장소인 경기전까지 왕의 행렬이 이어지며, 전라감사가 선두에 서서 어진을 호위한다. 행렬은 충경로사거리와 풍남문사거리를 거쳐 이동하며, 시민들이 자유롭게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포토타임도 마련된다.
마지막으로 경기전 정문에서 정전으로 들어가 태조어진 봉안을 마친 뒤 고유제로 행사를 마무리한다.
특히 올해는 지역주민과 관광객 등 100여 명이 ‘온고을 백성’으로 참여하여 행렬의 생동감을 더할 예정이다. 사전 모집은 (사)전통문화마을 홈페이지와 유선전화를 통해 진행되며, 행사 당일 현장에서도 참여할 수 있다.
행사 당일에는 안전과 원활한 진행을 위해 오전 10시 30분부터 오후 2시 40분까지 시청 앞 문화광장로, 그리고 오후 2시 30분부터 3시 30분까지 팔달로 및 충경로 일대가 일시적으로 교통 통제된다. 시 관계자는 “행렬이 통과한 구간은 즉시 통제를 해제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전했다.

(사)전통문화마을은 이번 봉안의례 재현과 함께 ‘경기전 수문장 교대의식’, ‘태조 이성계 전승기념 오목대 잔치’ 등 다양한 전통문화 프로그램도 함께 운영하며 전주의 대표 문화 브랜드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김진형 (사)전통문화마을 이사장은 “천년 전주의 유산이 오늘날에도 살아 숨 쉴 수 있도록 시민과 함께하는 문화도시로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행사는 YouTube 공식 채널을 통해 생중계되어 현장을 방문하지 못한 시민들도 온라인으로 함께할 수 있다.
전주는 이번 봉안의례 재현을 통해 과거의 유산을 현재의 축제로 이어가며, 전통과 현대가 조화를 이루는 문화도시로 한층 더 도약할 전망이다.
이번 ‘조선왕조 태조어진 봉안의례 재현행사’는 전통의식과 현대의 도시축제를 결합하여 관광 활성화, 지역 예술인 참여, 전통문화 계승 등 다방면의 효과가 기대된다.
전주는 이번 행사를 통해 “역사문화도시 전주”의 이미지를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문화관광 콘텐츠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