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출처:네이버 블로그 전원속의 내집]
귀농귀촌의 풍경이 달라지고 있다.
과거에는 생계 수단으로 농업에 뛰어드는 ‘생계형 귀촌’이 중심이었다면, 이제는 자연과 여유로운 삶을 추구하는 ‘생활형 귀촌’이 새로운 흐름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40~60대 중장년층과 은퇴 세대가 귀촌의 핵심 주체로 부상하면서, 농촌의 빈집을 활용한 ‘빈집은행 제도’가 주목받고 있다. 도시민에게는 저렴한 주거 대안이 되고, 지역에는 인구 유입과 주거 재생 효과를 더하고 있다.
통계청과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간 귀농 인구는 감소세를 보이지만 귀촌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24년 기준 귀촌 가구의 60% 이상이 비농업 종사자, 즉 농사 대신 문화·체험·교육·관광 등 생활 기반형 귀촌인으로 분류됐다. 귀촌인의 연령대도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서울·경기에서 은퇴 후 내려오는 중장년층, 재택근무가 가능해진 30~40대 전문직,주말농장이나 체험마을에 머무르며 ‘세컨드하우스형 귀촌’을 시도하는 이들도 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를 ‘귀촌 2.0 시대’로 정의하며, 농촌이 더 이상 ‘일자리의 공간’이 아닌 삶의 무대로 변화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이런 흐름 속에서 ‘빈집은행’ 제도가 새로운 돌파구로 떠올랐다. 빈집은행은 각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내 유휴주택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해 귀촌 희망자에게 연결해 주는 사업으로, 현재 전국적으로 120여 개 지자체가 운영 중이다.
경북·전남·강원 등에서는 귀촌 희망자에게 수리비를 지원하거나 임대료를 낮춰주는 방식으로 실질적인 정착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청년 귀촌형 리모델링 주택’, ‘공유형 귀촌하우스’ 등 새로운 형태의 빈집 활용 모델도 확산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빈집은행은 단순한 주택 매칭을 넘어, 농촌의 유휴 자원을 새롭게 순환시키는 지역 활성화 사업”이라며
“도시민이 부담 없이 농촌을 경험할 수 있는 생활형 귀촌의 관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귀촌의 방향이 단순한 ‘이주’에서 ‘공존’으로 바뀌고 있다고 강조한다. 지속 가능한 귀촌을 위해서는 단기 정착 지원보다 지역 커뮤니티와의 연결, 생활 기반 조성이 핵심이라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각 지자체에서는 귀촌학교, 귀촌멘토단, 체류형 주거단지, 그리고 빈집은행을 연계한 ‘살아보는 농촌 프로젝트’를 잇달아 추진하고 있다.
귀농귀촌 관계자는 “앞으로 귀촌은 ‘무엇을 할까’보다 ‘어떻게 살까’를 고민하는 시대가 될 것”이라며 “생활형 귀촌을 지원하는 정책과 지역의 협력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 귀농귀촌라이프뉴스 편집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