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정유순] 비무장지대, 분단이 남긴 생명의 보고

▲ 정유순/ 한국공공정책신문 칼럼니스트 ⓒ한국공공정책신문

 

[한국공공정책신문=최진실 기자]  1950625일 새벽, 북한이 소련제 탱크를 앞세워 38도선을 넘어와 시작된 한국전쟁은 같은 민족끼리 총칼을 겨누며 싸워야 했던 동족상잔(同族相殘)의 비극이었다. 3년의 전쟁 끝에 1953723일 판문점 협정으로 대한민국의 허리를 가르는 선이 그어졌다. 그것이 바로 비무장지대다.


지금도 그 상처가 아물지 않은 채 동서로 폭 4km, 장장 248km(155마일)의 길이로 휴전선이 가로막아 부모 형제가 남과 북으로 서로 헤어져 지낸 게 벌써 70년이 넘었다. 한때는 소통이 되고 왕래가 되어 통일이 곧 올 것처럼 하더니만, 요즈음은 그 소식마저 잠잠하다. 이 민족의 슬픔은 언제쯤 끝날 것인가. 다시는 동족끼리 총부리를 서로의 가슴에 겨누며 싸우는 전쟁은 제발 없었으면 한다.

이렇게 생긴 비무장지대(DMZ. Demilitarized Zone)는 국토분단이라는 비극적 역사의 상징 지역임과 동시에 출입이 통제되어 인간의 간섭이 거의 없어지면서 다양한 야생생물의 보금자리가 자연스럽게 복원되었다.


19537월 이후 비무장지대와 그 일원에 군사분계선과 민간인통제선이 설치되어 각종 개발사업으로부터 야생 생물들이 보호받아, 이곳에는 멸종위기종 67종을 포함한 2,716종의 야생동식물이 산다고 ‘2009 환경백서는 기록한다. 더욱이 세계적인 희귀종으로 국제적인 보호와 관심을 받고 있는 두루미와 저어새 등의 보금자리가 비무장지대 일원에 있다고 한다.


그러나 20006월 남북정상회담 이후 남·북 간의 긴장이 조금 완화되자 인간들은 여기에도 개발의 손길을 뻗으려 했다. ‘접경지역지원법을 만들고 접경지역종합계획을 세워 이 지역의 자연환경을 훼손시키려고 한다는 것이다.


또한, 국방부에서도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보호법을 만들어 군사분계선인접지역의 민간인통제선을 군사분계선으로부터 15km 이내에서 10km로 축소되, 통제보호구역에서 제한보호구역으로 완화하여 건축의 신축 등이 가능해져 축소된 지역의 생태계 훼손이 우려되고 있으며, 특히 접경지역인 경기도 파주와 연천지역은 인삼(人蔘) 재배지역이 증가하면서 두루미 서식 환경이 좁아져 개체 수가 줄어들고 있다고 한다.


비무장지대는 우리 민족만이 겪어야 하는 분단의 상징으로 세계에서 유일하게 남아있는 비극의 현장이다. 그 비극의 대가로 생태계의 보고를 선물로 남겨 주었는지 모른다. 옛날에는 휴전선에서 흘러나오는 맑은 물조차 손에 묻히면 안 되는 줄 알았다. 지뢰밭이 많아 야생동물들은 무서워서 접근이 안 돼 서식을 안 하는 줄만 알았다.


땅굴이 발견되어 일반에게 공개된 직후 철원지역으로 안보교육 차 간 적이 있었는데, 군복으로 갈아입고 군용트럭을 타고 먼지가 날리는 비포장도로를 달리며 멀리 보이는 저수지에서는 많은 물고기가 수면 위로 솟구치며 뛰어놀고 있는 것을 보았다. 생명의 기운이 용솟음치는 것 같았다. 그때 안내를 맡았던 장교는 물고기가 너무 많아 이곳의 병사들은 매운탕이 먹고 싶으면 철모에 물만 떠서 고추장을 풀어 끓이면 바로 된다.”고 너스레를 떨어 한바탕 웃었던 기억이 생각난다.


언젠가는 남·북한이 통일되어 우리 민족이 하나로 뭉치게 되겠지만, 비무장지대는 비극의 역사 현장으로 잘 보호되어야 하겠고, 생태계의 균형이 깨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 동서로 연결되는 생태축(生態軸)이 유지되었으면 한다. 그리고 비무장지대가 서해안의 갯벌과 백두대간과의 연결하는 생태축(生態軸)이 이루어진다면 대한민국의 기운이 뻗칠 것만 같다. 그래야 비무장지대가 우리에게 남긴 선물을 오래도록 간직할 수 있을 것이다.


▲철원노동당사(필자 정유순 제공) ⓒ한국공공정책신문




瓦也 정유순

전 전주지방환경청장

전 환경부 한강환경감시대장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졸업

한국공공정책신문 칼럼니스트

저서 <정유순의 세상걷기>, 

    <강 따라 물 따라>(신간) 등


작성 2025.10.15 13:02 수정 2025.10.15 13:13

RSS피드 기사제공처 : 한국공공정책신문 / 등록기자: 최진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