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학술계의 펜을 잡다: 논문 작성·심사 전 과정 자동화 시대 개막

'에이전트4사이언스 2025' 학회, AI 저자·심사위원만 참여하는 파격 실험

"연구 속도 75% 향상" 기대감 속 "데이터 조작·윤리 문제" 우려 교차

인간의 지혜와 기계의 효율성, 조화로운 공존의 길을 모색해야

가설 설정부터 데이터 분석, 결론 도출에 이르는 연구의 전 과정을 기계가 수행하고, 그 결과물을 또 다른 기계가 평가하여 채택하는 시대가 도래했다. 오는 10월 22일 개최 예정인 글로벌 컴퓨터 과학 학회 '에이전트4사이언스(Agents4Science) 2025'에서는 인간 저자 없이 인공지능(AI) '에이전트'가 제1 저자이자 동료 심사(peer review) 위원으로 참여하는 전례 없는 실험이 진행될 예정이다. 이는 학술 출판계에서 인간의 역할을 근본적으로 재정의하는 중대한 도전으로 평가받고 있다.

학술 분야에서 AI의 활용이 새로운 개념은 아니다. 2020년 GPT-3 등장 이후 AI는 논문 초안 작성이나 연구비 제안서 준비에 보조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후 SciNote, Paperpal과 같은 도구들이 문법 교정이나 참고문헌 관리 등을 지원하며 인간 연구자의 조력자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아이디어 발상, 데이터 해석, 결론 옹호 등 연구의 핵심은 여전히 인간의 영역이었다. 한편, 학술계의 동료 심사 과정은 심사위원의 편향성, 섭외의 어려움, 심사 지연 등의 고질적인 문제에 시달려왔다. 2022년 퍼블론스(Publons) 보고서에 따르면, 분야를 막론하고 논문 한 편을 심사하는 데 평균 8주 이상이 소요되어 팬데믹 대응, 기후변화 모델링과 같은 시급한 분야의 연구 결과 발표가 지연되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출판 아니면 도태(Publish or Perish)'로 요약되는 학계의 극심한 성과 압박과 연구 결과물의 기하급수적 증가는 AI 에이전트의 등장을 가속화했다. 텍스트 초안 작성, 시뮬레이션 실행, 도표 서식 지정은 물론, 동료 AI의 작업물을 비평하는 것까지 수개월이 걸릴 작업을 단 몇 분 만에 처리할 수 있는 자율 협업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된 것이다. 스탠퍼드 대학 메타-연구 혁신 센터의 주최 측은 이 모델이 논문 출판까지 걸리는 시간을 최대 75% 단축하고, 연구비로 운영되는 실험실의 비용을 연간 수십만 달러까지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학회의 공동 주최자인 스탠퍼드 대학 AI 연구원 제임스 조우(James Zou)는 "이번 학회는 AI 저자 시스템의 규범과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안전한 실험장'"이라며, "인간의 지성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AI가 과학적 발견을 가속하고 연구 프로세스를 효율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라고 그 취지를 밝혔다. 반면, 비판의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기계가 논문을 작성할 경우 저작권은 누구에게 귀속되는지, AI가 생성한 논문에 조작된 데이터나 윤리적 흠결이 발견될 경우 책임 소재는 어디에 있는지 등 새로운 위험에 대한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컴퓨터 과학 저널'의 한 편집장은 "AI를 '블랙박스'처럼 취급해서는 안 된다"며, "학습 데이터와 심사 알고리즘의 투명성 확보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논쟁은 관련 데이터를 통해 더욱 구체화되고 있다. 2024년 네이처(Nature) 설문조사에 따르면, 연구자의 60% 이상이 모델 아키텍처와 학습 데이터에 대한 완전한 투명성이 보장된다면 AI가 생성한 연구 방법론 섹션을 신뢰할 것이라고 답했다. 또한, 2025년 스탠퍼드 연구팀의 초기 실험 결과, AI 심사위원은 85%의 사례에서 인간 심사위원과 주요 방법론적 결함에 대해 동일한 의견을 보였으나, 30%의 경우에서 미묘한 윤리적 문제를 간과하는 경향을 보였다. 아카이브(arXiv) 통계에 따르면 AI 관련 분야의 연구 결과물은 매년 40%씩 증가하며 더 빠른 출판 파이프라인에 대한 수요를 키우고 있다.
 


만약 AI 에이전트가 신뢰성 있게 논문을 작성하고 검증할 수 있다면, 신약 개발, 기후 예측, 신소재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획기적인 발전이 촉발될 수 있다. 그러나 효율성 증대라는 명분 아래 연구실에서의 멘토십, 우연한 복도에서의 대화를 통한 영감, 책임감 있는 연구를 이끄는 도덕적 판단과 같은 인간적 요소가 희생될 수 있다는 점은 중대한 과제로 남는다.

인류의 지식 탐구라는 장대한 여정을 기계에 온전히 맡길 준비가 되었는가? AI가 주도하는 과학은 엄격함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인가, 아니면 속도를 위해 깊이를 희생하게 될 것인가? '에이전트4사이언스 2025' 학회는 단순히 연구가 출판되는 방식을 넘어, 과학적 지식이 구상되는 방식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다. AI의 잠재력을 수용하되, 투명성 확보와 윤리적 가이드라인 마련, 그리고 지속적인 인간의 감독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과학의 미래는 기계의 효율성과 인간의 지혜를 조화시키는 능력에 달려있다.

 

 

작성 2025.10.15 08:37 수정 2025.10.15 08:37

RSS피드 기사제공처 : 리뉴타임스 / 등록기자: 윤두희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