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 가족’의 비밀, 우리는 서로에게 어떤 가면을 쓰고 사는가

일상의 평화 속에 숨은 균열 — ‘착한 가족’이 던지는 질문

 

 

 

착한 가족의 비밀우리는 서로에게 어떤 가면을 쓰고 사는가

 

 

서하진의 소설집 『착한 가족』(문학과지성사, 2014)은 겉으로는 평온해 보이지만 내면으로는 균열과 불안이 소용돌이치는 가족의 초상을 그린다작가는 가족을 사회의 축소판으로 바라보며, “착함이라는 윤리적 외피 아래 감춰진 인간의 욕망과 자기방어의 심리를 세밀하게 해부한다표제작 〈착한 가족〉을 비롯해 〈아빠의 사생활〉〈슬픔이 자라면 무엇이 될까〉 등의 작품은 모두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 속에서 일어나는 작은 파열음을 통해 인간 관계의 본질을 탐색한다그 속에서 가족은 더 이상 온기의 상징이 아니라서로를 지키기 위해 서로를 속이는 가면의 무대로 드러난다.

 

서하진의 인물들은 언제나 평범함의 껍질 속에 있다그들은 착한 엄마자상한 아빠성실한 아내혹은 평온한 가장으로 보인다그러나 그 평화로움은 허상이다. ‘착한 가족의 아내는 가족의 안정을 위해 모든 것을 감내하며 헌신하지만그 헌신은 타인을 위한 사랑이 아니라 자신이 지켜야 할 가면이자 생존 방식이다작가는 질문한다. “과연 착한 가족이란 무엇인가?”

이 질문은 독자로 하여금 자신의 가족자신의 일상을 돌아보게 만든다우리가 지키는 평화는 진정한 이해의 결과인가아니면 서로에게 들키지 않기 위한 위선의 합의인가작가는 이 모순된 평화를 섬세하게 해체하면서일상의 균열을 마치 빛이 새어 나오는 틈처럼 보여준다.

 

서하진의 인물들은 모두 가면을 쓴다바람을 피우는 아빠암을 앓는 엄마병든 한의사작가 지망생 모두 자기만의 비밀을 감추고 있다그러나 그들의 가면은 단순히 거짓을 숨기기 위한 도구가 아니다오히려 서로를 다치지 않게 하기 위한 일종의 방어기제다.

이 가면 바꾸기는 서하진 문학의 핵심 장치다인물들은 때로는 피해자이면서 동시에 가해자이며진심을 숨기지만 그 숨김 속에 또 다른 진심이 있다그들의 침묵은 죄책감이 아니라관계를 지키기 위한 마지막 윤리의 형태다작가는 이를 통해 인간관계의 근원적 아이러니를 포착한다진실을 말하지 않음으로써만 관계가 유지되는 사회 — 그것이 바로 오늘날 우리가 사는 세계다.

 

착함은 이 소설집 전반을 관통하는 주제다하지만 그 착함은 도덕적 순수성이 아니라사회가 요구하는 생존 전략에 가깝다가족을 지키기 위해사랑받기 위해혹은 비난받지 않기 위해 우리는 착한 사람이라는 가면을 쓴다그 결과인간의 욕망은 억눌리고감정은 은폐된다.

〈아빠의 사생활〉에서 바람을 피우는 아빠는 분명 잘못된 행동을 하지만독자는 그를 미워하지 못한다왜냐하면 그 역시 착한 아빠라는 역할 속에서 자신을 소멸시킨 희생자이기 때문이다〈슬픔이 자라면 무엇이 될까〉에서 병든 여자는 가족을 위해 슬픔을 감추고〈모두들 어디로 가는 것일까〉의 한의사는 자신을 속이며 삶을 연명한다그들의 침묵은 굴종이 아니라인간이 끝내 감내해야 하는 윤리의 형태로 작용한다서하진은 그 침묵 속에서 오히려 인간적인 따뜻함을 발견한다.

 

평론가 정여울은 서하진의 인물들을 두고 “9회말 2아웃의 순간까지 자신의 욕망을 유예시키는 사람들이라고 표현했다이 표현은 그녀의 문학 세계를 정확히 요약한다『착한 가족』은 사건이 폭발하기 직전의 정적감정이 폭발하기 전의 견딤의 시간을 그린다.

그 견딤은 고통스럽지만동시에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다서하진은 가족의 붕괴를 비극으로 그리지 않는다오히려 그 붕괴의 순간을 통해 우리가 진정으로 마주해야 할 나 자신을 발견하게 한다『착한 가족』의 인물들은 결국 혼자 남지만그 고독은 절망이 아니라 이해로 향하는 출구가 된다.

서하진의 문체는 담백하고 절제되어 있으며감정의 폭발 대신 침묵의 여백을 남긴다그 여백 속에서 독자는 자신을 투영한다그래서 이 소설은 단순한 가족 이야기나 불륜 서사가 아니라, ‘현대인의 초상화이자 우리 모두의 거울이다.

 

 

『착한 가족』은 가족이라는 친밀한 공간을 통해 인간의 본질을 탐색하는 작품이다그곳에는 사랑이 있지만동시에 거짓이 있다평화가 있지만동시에 침묵이 있다그리고 그 모든 것은 서로를 지키기 위한 또 다른 형태의 이해다.

서하진은 도덕의 잣대를 들이대지 않는다대신냉철한 거리감 속에서 인간을 따뜻하게 이해한다그녀의 소설은 우리에게 묻는다. “당신은 지금 어떤 가면을 쓰고 있는가?”

그 질문 앞에서 우리는 비로소 깨닫는다가족은 완벽한 안전망이 아니라서로의 불완전함을 견디며 살아가는 가면의 공동체라는 사실을.

 

 

삶을 바꾸는 동화 신문 기자 kjh0788@naver.com
작성 2025.10.14 08:36 수정 2025.10.28 10:35

RSS피드 기사제공처 : 삶을 바꾸는 동화 신문 / 등록기자: 삶을 바꾸는 동화 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