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는 반려동물 동반여행 수요 증가에 대응하고 관광시설의 수용태세를 개선하기 위해 ‘반려동물 동반여행 친화시설 조성 가이드라인’을 발간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가이드라인은 관광지, 숙박시설, 식음시설 등 다양한 관광시설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 기준을 담고 있다. 필수 시설로는 반려동물 전용 소독제와 목줄 고정장치 등이 제시됐으며, 권장시설로는 라운지·배변장·놀이공간 등이 포함됐다.
또한 시설 운영자가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체크리스트와 매뉴얼 예시를 함께 수록했다.
가이드라인에는 동물보호법, 식품위생법, 사료관리법 등 현행 법규가 포함되어 있으며, 반려동물 출입과 관련한 규제 샌드박스 등 현행 제도를 반영하여 실효성을 높였다.
이 자료는 관광시설 운영자가 법적 기준에 맞는 시설 운영을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관광공사는 단순한 시설 확충을 넘어, 반려동물 양육 가구와 비양육 가구 모두가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관광을 즐길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공사는 반려동물 행동전문가 설채현 수의사, 펫츠고트래블 이태규 대표, 식품의약품안전처 담당 주무관 등 현장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아 이용자 안전과 배려 요소를 지침에 반영했다.
가이드라인과 함께 제공되는 픽토그램 8종은 한국관광데이터랩과 ‘대한민국 구석구석’ 누리집에서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다.
공사 측은 해당 자료가 현장의 이해도를 높이고, 관광사업자가 시설 개선을 추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관광공사 최혜리 관광콘텐츠전략팀장은 “공사는 2022년부터 울산, 태안, 포천, 순천, 익산, 경주 등 6개 도시를 반려동물 친화 관광도시로 지정해 지원해 왔다”며, “이번 가이드라인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반려동물 동반여행 환경이 보다 체계적으로 자리 잡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의 제3차 동물복지종합계획(2025)에 따르면 국내 반려동물 양육 가구 비율은 28.6%이며, 반려견 수는 약 500만 마리에 달한다.
오픈서베이 조사 결과, 반려인의 75.8%가 반려동물과의 여행을 희망하고 있으며, 실제 여행 시 1인 평균 지출액은 일반여행 대비 당일 1.9배, 숙박 시 3.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수치는 반려동물 동반여행이 관광산업 내 새로운 성장축으로 부상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번 한국관광공사의 ‘반려동물 동반여행 친화시설 조성 가이드라인’은
현행 법규 기반의 운영 기준 제시, 관광시설의 법적 리스크 예방, 반려인과 비반려인의 공존형 관광환경 마련이라는 세 가지 핵심 가치를 담고 있다.
이를 통해 관광산업 내 반려동물 관련 서비스의 품질 향상과 지역관광 활성화가 기대된다.
또한 지자체 및 민간사업자는 법적 준수와 함께 새로운 시장 진입 기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관광공사 홈페이지에서 알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