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이카(한국국제협력단·KOICA)는 지난 1~2일, 우간다 수도 캄팔라의 은틴다 직업훈련원에서 ‘동아프리카 기술교류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학생 기능경기대회, 세미나, 전시회 등으로 구성돼 지역 간 교육 협력의 장을 마련했다.
이번 교류회는 코이카가 직업기술훈련사업을 펼치고 있는 6개국(우간다, 에티오피아, 모잠비크, 케냐, 르완다, 탄자니아)의 기술 인재들이 함께 참여해 지식과 경험을 나누고, 동아프리카 권역 차원의 협력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코이카가 개별 국가 지원을 넘어 권역 단위로 리더십을 확대한 첫 기술 교류 행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6개국 직업훈련원 학생과 교사, 정부 및 산업계 관계자 등 약 200명이 참가한 가운데, 청년들의 기술 역량을 높이고 협력을 다지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메인 행사인 ‘학생 기능경기대회’에는 국가별 1개 팀씩 총 6개 팀이 참가했다. 전기, 용접, 배관 등 3개 직종별 2명씩으로 구성된 각 팀은 기본 주거 기능과 태양광, 빗물 수집, 단열재 등 친환경 요소를 갖춘 소형 ‘에코하우스’를 완성하는 과제를 수행했다.
한국 직업훈련 전문가와 현지 산업계 인사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의 평가 결과, 기술 완성도와 팀워크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둔 우간다 팀이 최우수상을 차지했다. 우간다 팀의 작품은 기능적 완성도와 미관 면에서 모두 높은 평가를 받았다.
최우수상 수상자 만델라 넬슨(Mandela Nelson) 씨는 “경연을 통해 기술력을 인정받으며 자신감이 생겼고, 다른 국가 참가자들과 교류하면서 동아프리카 청년으로서의 연대감도 깊이 느꼈다”며 “코이카 직업기술훈련원을 졸업한 동료들과 함께 좋은 결과를 얻어 기쁘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우수상, 장려상, 도전상, 성실상, 참가상이 수여됐으며, 최우수상 수상작은 은틴다 직업기술훈련원에 전시될 예정이다.
한편 1일 열린 ‘동아프리카 직업훈련 프로그램 경험 공유 및 개선 논의 세미나’에서는 지속 가능한 직업훈련 운영 전략, 노동시장 분석 기법, 미래형 직업훈련 모델 발굴 등을 주제로 사례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코이카 사무소, 정부, 직업훈련기관, 산업계 전문가, 타 공여국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해 자립형 운영 모델과 산업 수요 기반 교육과정 설계, 신기술 도입 사례를 공유했다.
코이카는 기술교류회 기간 동안 직업훈련 프로그램 성과를 알리는 전시회도 진행했다. 동아프리카 6개국에서 추진된 주요 사업과 훈련생의 성공 사례를 영상, 사진, 브로슈어 등으로 선보여 큰 호응을 얻었다.
존 크리세스톰 무잉고(John Chrysestom Muyingo) 우간다 고등교육 국무장관은 “코이카는 우간다의 직업훈련교육 발전에 큰 기여를 해왔다”며 “이번 교류회를 통해 동아프리카 청년들이 기술 역량을 키우고 미래를 함께 꿈꿀 수 있도록 지원한 한국 정부와 코이카에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박성수 주우간다 대한민국 대사는 “한국의 젊은이들은 세계기능경기올림픽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제조업 발전과 경제 성장의 기반을 다졌다”며 “한국은 이러한 경험과 교훈을 아프리카와 공유하고, 함께 성장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