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이정찬] AI 확산의 그늘…전력난 쇼크, 일상으로 번지나

▲이정찬/(전)서울시의회독도특위위원장 ⓒ한국공공정책신문

 [한국공공정책신문=김유리 기자] AI 열풍이 산업 전반을 휩쓸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전력난 쇼크라는 불안이 드리우고 있다. 데이터센터의 전력 사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전력망 불안정, 전기요금 인상, 나아가 생활 속 불편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30년까지 전 세계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가 지금의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AI 서버는 순간적으로 엄청난 전력을 끌어쓰는 특성이 있어, 기존 전력망이 버티기 어려운 수준”이라고 지적한다. 실제로 해외에서는 이미 AI 전력 수요로 인해 일부 지역 전력망이 흔들리고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국내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서울대 AI 연구소는 전력 부족으로 별도 전력선 공사를 진행해야 했고, 일부 기업은 전력 수급 문제 때문에 신규 데이터센터 설립을 미루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현상이 확산되면 여름철 블랙아웃 같은 대규모 정전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며 경고음을 울린다.


전문가들은 재생에너지 확대만으로는 한계가 뚜렷하다고 입을 모은다.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원자력, 수소 에너지,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을 함께 활용하는 복합적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시민들의 생활을 지탱하는 전기가 AI라는 거대한 수요 앞에서 불안정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AI 시대는 분명 새로운 기회이지만, 동시에 우리의 일상에 전력 불안을 몰고 오는 새로운 변수다. 지금의 경고가 현실이 되기 전에 정부와 사회가 함께 해법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정찬

· (전)서울시의회 의원, 서울시의회독도특위위원장

· 민주평통자문회의자문위원

· 서울남부지방법원조정위원



작성 2025.10.02 17:35 수정 2025.10.02 17:41

RSS피드 기사제공처 : 한국공공정책신문 / 등록기자: 김유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