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의 문화적 다양성과 예술적 실험 정신을 영화라는 매체로 조망하는 ‘제14회 스웨덴영화제(The 14th Swedish Film Festival)’가 오는 10월 28일부터 11월 9일까지 서울, 부산, 인천, 대구에서 열린다.
올해 영화제는 총 8편의 상영작을 통해 평등, 인권, 역사적 성찰, 예술의 자유를 주제로 스웨덴 사회의 내면과 미학적 사유를 한국 관객에게 소개한다.
개막작 ‘노바와 앨리스’는 음악을 매개로 서로 다른 삶을 살아온 두 여성의 내면을 섬세하게 그려낸 작품이다. 올해 공식 포스터 역시 이 영화의 한 장면을 담아 예술이 개인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시각적으로 암시한다. 감독 엠마 부흐트와 배우 요한 레보르그가 내한해 서울과 부산에서 관객과의 대화를 나눌 예정이다.
올해 영화제의 중심축은 토마스 알프레드손 감독의 신작 시리즈 ‘페이스리스’다. 리브 울만 감독, 잉마르 베리만 각본의 ‘트로로사’(2000)를 리메이크한 작품으로, 인간관계의 균열과 정체성의 흔들림을 탐구하며 깊은 몰입을 이끈다. 두 작품을 연이어 상영해 스웨덴 영화가 과거와 현재를 대화시키는 과정을 조명한다. ‘페이스리스’는 인터미션을 포함해 275분에 이르는 장편으로, 시리즈 전편을 한 번에 상영하는 특별 기획으로 편성됐다.
스웨덴은 실존 인물의 삶을 통해 오늘날의 윤리적 질문을 던지는 영화를 꾸준히 제작해 왔다. 올해 상영작 역시 역사적 인물과 시대적 맥락을 탐구하는 작품들이 눈길을 끈다.
-
‘함마르셸드: 평화를 위한 여정’은 유엔 사무총장 다그 함마르셸드의 외교적 신념과 헌신을 조명한다.
-
‘스웨덴 토피도’는 영국해협을 건넌 최초의 스칸디나비아 여성 수영선수 살리 바우에르의 도전을 통해 여성의 신체성과 자유 의지를 형상화한다.
-
‘힐마’는 최초의 추상화가 힐마 아프 클린트의 삶과 예술을 조명하며, 부산현대미술관에서 열린 국내 첫 전시를 기념해 다시 선보인다.
-
‘우리의 마지막 여행’은 아버지와 아들의 마지막 여정을 담아 가족과 죽음, 인간의 존엄을 성찰한다.
또한 마이 제털링 감독의 대표작 ‘더 걸즈’가 소개된다. 고대 그리스 희곡을 무대에 올리는 세 여성의 이야기를 통해 여성 해방의 서사를 힘 있게 담아낸 이 작품은 제털링 감독의 일관된 시선과 예술적 집념을 확인할 기회를 제공한다.
영화제는 단순한 상영 행사를 넘어 스웨덴이라는 국가가 품은 문화적 사유와 예술적 실천을 한국 관객과 공유하는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상영 일정
-
서울: 10월 28일 ~ 11월 3일 / 아트하우스 모모
-
부산: 10월 30일 ~ 11월 4일 / 영화의 전당
-
인천: 11월 6일 ~ 11월 9일 / 영화공간 주안
-
대구: 11월 7일 ~ 11월 9일 / CGV 대구아카데미
주최는 주한스웨덴대사관, 스웨덴대외홍보처, 스웨덴영화진흥원이 맡았으며, 영화사 백두대간, 영화의 전당, 영화공간 주안, 재대구 스웨덴명예영사관이 주관한다. 한국스웨덴문화예술협회가 후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