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태어난 철강의 사나이, 김진우 대표

22년 철강 외길, 좌우명은 ‘몸도 마음도 단단'

시련을 넘어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다

 

철강업계의 최전선에서 20여 년을 걸어온 록스틸 김진우 대표그는 특유의 끈기와 신념으로 숱한 도전과 시련을 견뎌내며오늘도 철강 영업 현장을 지키고 있다. “몸과 마음이 단단해야 가정도 회사도 성장할 수 있다는 그의 좌우명은 단순한 말이 아니라인생을 지탱해 온 실제 경험에서 비롯된 신념이다.

 

김 대표의 철강 인생은 우연에서 시작됐다. 20대 시절 태안화력발전소에 근무하던 그는 지인의 소개로 시화공단의 서울철강’ 면접을 보게 됐다당시 면접관이었던 송기만 전무(현 서울스틸 대표)는 힘이 약해 보인다철강업은 덩치가 커야 한다라는 말을 던졌다그 말은 젊은 청년에게 도전 의식을 불러일으켰고그는 오기로 반드시 입사해 열심히 일해보겠다는 각오를 다졌다그렇게 시작된 철강과의 인연은 어느덧 22년을 이어오고 있다.

 

그의 철강 인생에서 가장 극적인 장면은 기보스틸 입사 과정이었다세 차례 면접에서 불합격 통보를 받으면서도 포기하지 않았다전병억 전무(현 사장)의 권유로 다시 면접을 보게 된 김 대표는성경 속 소년 다윗’ 이야기를 꺼내며 성실과 헌신을 다짐했다. “누가 보든 보지 않든 양을 지켰던 다윗처럼기보스틸에서 묵묵히 일하고 싶다는 그의 대답은 최승옥 사장의 마음을 움직였다그 순간은 김 대표의 인생에서 결정적인 전환점이 됐고그는 기보스틸은 나의 철강 인생의 터닝포인트였다고 회상한다.

 

하지만 인생은 순탄치 않았다. 37세에 도전한 창업은 불과 두 달 만에 큰 사고를 불러왔다유압기 사고로 인해 그는 하지지체장애 3급 판정을 받고 3년간 병상에 누워야 했다한창 일해야 할 시기에 찾아온 예기치 못한 시련은 그를 깊은 절망 속으로 몰아넣었다그러나 그는 좌절 대신 재기를 선택했다. “건강을 잃고 나니 무엇이 진짜 소중한지 알게 됐습니다하나님께 기도하며 다시 철강을 시작했고주어진 자리에서 부끄럽지 않게 일하고자 마음을 다잡았습니다.”

 

현재 그가 이끄는 록스틸은 ‘company of one’, 1인 기업을 지향한다단순히 혼자 운영한다는 뜻이 아니라불필요한 확장을 지양하고 한 사람의 신념과 책임감으로도 충분히 기업을 성장시킬 수 있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김 대표는 무리하게 거래처를 늘리기보다 기존 거래처와 신뢰를 쌓아가며 함께 성장하는 것이 진정한 도약이라 강조한다록스틸은 연 매출 60억 원이익률 3.8%를 목표로 설정하고 있으며작지만 단단한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김 대표는 철강업을 단순히 강철을 파는 일로 보지 않는다그는 철강은 산업의 뼈대를 이루는 재료입니다누군가에게는 단순한 제품이지만우리 사회가 돌아가기 위해 꼭 필요한 기반이죠철강인의 사명은 이 기반을 묵묵히 지켜내는 것이라고 말한다이 같은 철학은 그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업계를 떠나지 않고 버틸 수 있었던 이유이기도 하다.

작성 2025.10.01 10:08 수정 2025.10.01 10:08

RSS피드 기사제공처 : 중기벤처신문 / 등록기자: 김도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