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용의 인사노무이야기] “퇴사 후 경쟁사 취업, 전직금지약정 때문에 막힐 수 있다?”

전직금지약정, 어디까지 효력이 있을까?

판례로 본 전직금지약정의 실제 적용 사례

직장인이 전직금지약정 분쟁을 피하는 현실적 방법

최근 직장인들 사이에서 가장 많이 회자되는 법적 이슈 중 하나가 바로 ‘전직금지약정’이다. 전직금지약정은 회사와 근로자 사이에 맺는 계약으로, 퇴사 후 일정 기간 동안 경쟁사나 동종 업계로 이직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조항을 말한다. 

 

기업 입장에서는 핵심 인력 유출과 영업 비밀 누출을 막기 위한 장치이지만, 근로자 입장에서는 “퇴사를 했는데도 여전히 회사에 묶여 있는 것 아니냐”는 불만이 제기된다.

 

[사진: 이직을 준비중인 직장인들의 모습, 챗gpt 생성]

실제로 법적으로 전직금지약정이 항상 효력이 있는 것은 아니다. 헌법상 직업 선택의 자유가 보장되기 때문에, 무조건적으로 근로자의 이직을 막을 수는 없다. 

 

법원은 전직금지약정의 효력을 판단할 때 △보호할 가치가 있는 기업의 영업비밀 존재 여부 △근로자의 직무 범위와 접근 권한 △전직금지 기간과 지역의 합리성 △근로자에 대한 보상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즉, 단순히 ‘경쟁사 취업 금지’라는 문구 하나만으로 효력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중요하다.


 

전직금지약정은 법원 판결에 따라 효력이 인정되기도 하고, 무효로 판단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IT 업계에서 영업 비밀을 다루던 개발자가 퇴사 직후 경쟁사로 이직한 사건에서 법원은 “해당 직원이 회사의 핵심 기술과 기밀에 접근할 수 있었고, 이직으로 인해 회사에 상당한 손해가 발생할 수 있다”며 전직금지약정을 인정한 바 있다.

 

반면 단순히 고객 응대 업무를 맡았던 직원의 경우에는 “영업비밀로 보기 어려운 범위의 정보에 불과하다”며 전직금지약정의 효력을 제한했다. 또한 법원은 전직금지 기간이 과도하게 길거나, 보상 없이 일방적으로 이직을 막는 경우에도 효력을 부정하는 판결을 내렸다. 결국 전직금지약정은 ‘무조건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직무 성격과 조건에 따라 제한적으로 효력을 발휘하는 것이다.


 

직장인 입장에서 전직금지약정은 신경 쓰지 않고 넘어가기 쉬운 부분이다. 하지만 실제로 분쟁에 휘말리면 커리어에 큰 제약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계약 단계에서부터 꼼꼼히 확인할 필요가 있다.

 

첫째, 입사 시 전직금지약정 조항이 포함된 계약서를 반드시 읽고, 모호한 표현이 있다면 수정 요청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전직금지약정이 과도하게 길거나 보상이 없는 경우, 추후 분쟁 소지가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 셋째, 이직을 준비할 때는 현재 직무에서 다뤘던 자료나 영업 비밀과 관련된 데이터를 절대 반출하지 말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실제 분쟁이 발생했을 때는 혼자 해결하려 하기보다 노동법 전문 변호사나 노무사의 자문을 받는 것이 안전하다.

 

전직금지약정은 회사와 근로자 사이의 이해가 충돌하는 민감한 문제다. 하지만 법적 기준과 판례를 제대로 이해하고 대처한다면, 직장인도 불필요한 위험을 피하면서 경력 개발을 이어갈 수 있다.

 

 

 

 

 

 

 

작성 2025.10.01 07:56 수정 2025.10.01 07:58

RSS피드 기사제공처 : 라이프타임뉴스 / 등록기자: 박준용 정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