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청 폐지, 사법 시스템의 혼란을 예고하다

검찰청 폐지가 옳을까...

내년 10월 2일, 검찰청이 폐지되고 새로운 사법 시스템이 시행될 예정인 가운데, 이로 인해 형사사법 시스템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혼란이 가중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검찰의 비대해진 권한을 분산하고 수사 및 기소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공소청과 중대범죄수사청(중수청) 신설을 추진하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오히려 혼선과 기능 약화를 초래할 것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사법 전문가들과 현직 검찰 관계자들은 검찰 개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효율성에 대한 깊은 우려를 표하고 있다. 오랜 시간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던 수사 및 기소 시스템이 강제로 분리되면서 사건 처리의 연속성이 끊기고 절차가 지연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대형 사건이나 복잡한 경제 범죄 수사의 경우, 수사 단계부터 기소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축적된 전문 지식과 노하우가 단절될 위험이 크다. 이는 결국 사건 해결 역량을 약화시키고, 국민이 체감하는 사법 서비스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한 관계자는 "조직 재편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공백기가 범죄 대응 능력 약화로 이어질까 우려스럽다"고 토로했다. 이러한 우려는 단순히 개인의 의견에 그치지 않고, 사법 시스템 전반에 걸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검찰청 폐지의 입법 과정에서부터 꾸준히 제기된 위헌 논란 또한 큰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검찰의 수사권 및 기소권이 헌법적으로 부여된 권한이라는 주장이 상당하며, 이를 일방적으로 분리하거나 박탈하는 것이 헌법 정신에 위배될 수 있다는 견해가 만만치 않다. 실제로 수원지검장이 대검찰청에 권한쟁의심판을 요청하는 등, 법적 분쟁의 여지는 여전히 남아 있다. 이는 단순히 법적 다툼을 넘어, 새로운 사법 시스템의 정당성과 안정성을 저해하고 혼란을 장기화시킬 수 있는 잠재적 위험으로 작용할 수 있다.

 

법치주의 근간이 흔들릴 수 있다는 비판마저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사법 시스템에서는 검사의 경찰에 대한 보완수사권이 사실상 폐지되는 방향으로 논의되고 있다. 이는 수사기관 간의 유기적인 협력을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현대 수사 환경에서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수사 과정에서 미진한 부분이 발생하더라도 검찰이 직접 보완수사를 지시하거나 실행하기 어렵게 되면, 결국 수사 초기 단계의 부실이 전체 사건의 공정성 및 정확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법조계의 경고는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 "수사의 마지막 단계에서 법적 판단의 전문가인 검사가 보완 수사를 지휘하지 못하면, 재판 단계에서 무죄 판결이 남발될 위험이 있다"는 우려는 결코 가볍게 여겨질 수 없다. 다가오는 검찰청 폐지는 70년 넘게 이어져 온 사법 시스템의 근간을 바꾸는 중대한 변화이다. 제도의 안정적인 정착과 국민의 권리 보호를 위해서는 우려되는 단점들을 명확히 인식하고, 이에 대한 신중하고 면밀한 보완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작성 2025.09.30 17:54 수정 2025.09.30 17:54

RSS피드 기사제공처 : 몬딱제주 / 등록기자: 강지완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