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은 2025년9월25일(목) 금융통화위원회 정기회의(금융안정회의)에서
최근의 금융안정상황을 점검하였다.
정부는 서울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시장이 과열되고 가계부채 증가세가 확대됨에 따라 지난 6월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이하 6.27대책)을 발표·시행한 데 이어 9월에는 주택공급 확대 방안과 함께 추가 대출수요 관리방안(이하 9.7대책)을 발표하였다. 이하에서는 6.27대책 및 9.7대책 발표 이후 주택가격 및 가계부채 동향을 살펴보았다.
수도권 주택시장은 6.27대책 발표 직전에 비해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폭은 축소되고 거래량도 줄어들었으나, 가격 상승폭 둔화 정도는 과거 대책에 비해 제한적인 모습이다. 큰 폭의 오름세를 보이던 서울 아파트 가격은 7월 들어 상승폭이 다소 둔화(6월 1.4% → 7월 1.1%)되었으며, 아파트 거래량도 전월대비 큰 폭 감소(6월 12,131건 → 7월 4,362건, -64.0%)하였다.
다만 6.27대책 이후의 서울 아파트 시장의 흐름을 과거 주요 대책 발표시기와 비교해 보면, 거래량이 크게 위축되었으나 가격 상승폭의 둔화 정도는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9.7대책 이후(9월 셋째주)의 자치구별 아파트 가격 변동을 서울의 평균 가격상승폭이 유사한 수준을 보였던 5월 둘째주 등의 시기와 비교해 보면, 강남3구 및 마포·용산·성동구뿐 아니라 다른 구(노원, 도봉, 강북, 금천, 관악, 구로 등)의 상승률도 높아진 모습을 보이고 있다.
대책 시행 이후에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주택 매수심리가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서울지역에 대한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 주택가격전망CSI는 7월 들어 모두 큰 폭 하락하였으나 여전히 기준치(100)를 상회하고 있다. 특히 주택가격전망CSI의 경우 8월 이후 상승하는 등 주택가격에 대한 추가 상승기대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아파트 경매 및 청약시장에 대한 수요도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