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자살예방센터(최성영 센터장)는 지난 9월 13일부터 14일까지 1박 2일간 경기도 양평군 코바코연수원에서 제2회 ‘동그라미’ 워크숍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워크숍에는 총 25명의 동료지원가가 참여하여 자살 유족들의 애도와 회복을 돕는 이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상호 지지체계를 구축하는 데 주력했다.
‘동그라미’ 워크숍은 '동료지원가가 그리는 라(나)와 너의 미래'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자살 유족 동료지원가들이 본인의 회복 경험을 바탕으로 다른 유족들의 애도와 회복을 돕는 역할을 하는 당사자 활동가임을 재확인하는 자리였다. 서울시자살예방센터는 지난 2017년부터 전국 최초로 ‘자살유족 동료지원가 양성과정’을 운영해왔으며, 2025년에 신규 양성된 14명을 포함하여 현재까지 총 40명의 동료지원가를 배출했다.
동료지원가들은 동료 상담을 통한 유족 간 나눔, 고인별 자조모임 운영, 25개 자치구 자살유족 상담 및 자조모임 지원, 그리고 자살 예방을 위한 인식개선 및 사회 참여 활동 등 다각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들의 활동은 자살 유족들이 건강하게 애도하고 회복하는 과정의 모델링이 되는 동시에, 자살 예방을 위한 사회 참여 활동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실제로 동료지원 활동에 대한 자살 유족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2021년 84회였던 활동 건수가 2024년 191회로 크게 늘어나는 등 활동 영역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동료지원가 팀빌딩 프로그램, 동료 슈퍼비전, 평가회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특히 올해 새롭게 양성된 5기 동료지원가와 기존 동료지원가들이 함께 어우러져 친밀도를 높이고 유대감을 강화하는 시간을 가졌다. 참가자들은 각자의 경험을 공유하며 동료지원가로서의 역량 강화와 '회복'에 대한 심도 깊은 의견을 나누는 뜻깊은 시간을 보냈다. 워크숍 참여 동료지원가는 “동료지원가들의 편안한 대화를 통해 마음을 충전하고 서로의 미래를 스케치할 수 있었다”며, “함께 모여 위로를 주고받을 수 있는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번 워크숍은 전체 만족도 5점 만점에 4.5점을 기록하며 참여자들의 높은 만족도를 입증했다.
서울시자살예방센터는 이번 워크숍에서 자작나무 동료지원가가 사전 기획부터 운영, 평가까지의 전 과정에 주체적으로 참여하도록 하여 팀워크를 향상시키고, 동료지원 활동 경험 공유를 통해 자살 사별이라는 정신적 외상을 회복하고 성장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센터는 앞으로도 정기적인 워크숍 운영을 통해 동료지원가 활동의 안정적 확산과 내실화를 도모하고, 자살 유족 동료지원가들이 서로 지지하고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서울시자살예방센터는 서울시민의 자살 예방을 위해 24시간 위기 상담 전화 운영, 서울형 생명지킴이 교육, 생명사랑 자살예방 캠페인, 생애주기별 자살예방 사업, 자살 유족 긴급 서비스 사업 등 폭넓은 활동을 펼치고 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ㆍ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109 또는 자살예방SNS상담 “마들랜” (www.129.go.kr/etc/madlan)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