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르신 건강 지킴이, 지팡이가 왜 꼭 필요할까?”

“넘어짐 한 번이 인생을 바꾼다, 지팡이가 지켜주는 안전”

“불안한 발걸음에 자신감을, 지팡이가 준다”

“누구나 쉽게 고르는 맞춤 지팡이 선택법”

“넘어짐 한 번이 인생을 바꾼다.” 의료계에서 흔히 하는 말이다. 노인의 낙상은 단순한 사고가 아니라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의 낙상으로 인한 골절 발생률은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장기 요양시설 입소로 이어지는 경우도 적지 않다. 전문가들은 작은 보조기구인 지팡이 사용만으로도 낙상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강조한다.


[사진 출처: 지팡이를 짚고 공원 산책을 즐기는 부부의 모습, 챗gpt 생성]

지팡이, 어르신들의 ‘작은 안전망’

지난해 74세 김 모 씨는 집 앞 경사로에서 미끄러져 고관절 골절을 입었다. 수술 후 회복에는 성공했지만 여전히 예전처럼 자유롭게 걷지 못하고 있다. 김 씨는 “그때 지팡이라도 짚고 있었더라면 이렇게까지 힘들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이경미 센터장(다봄교육)은 이에 대해 “낙상은 노인의 삶 전체를 뒤흔드는 사고다. 단순한 넘어짐이라도 회복 과정에서 신체 기능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지팡이는 그 위험을 줄이는 가장 기본적이고 효과적인 안전 도구”라고 강조했다.

 


지팡이가 주는 자신감과 자율성

지팡이는 신체적 안전뿐 아니라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한다. 실제로 지팡이를 사용하기 전에는 외출을 꺼리던 어르신들이 지팡이를 짚은 후 다시 동네 모임에 나가거나 시장을 찾는 경우가 많다. 80세 박 모 할머니는 “지팡이 덕분에 다시 혼자서 마트도 가고, 친구들도 만날 수 있게 됐다”며 웃었다.

 

박병무 박사(안전교육)는 “어르신들이 지팡이를 짚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버리고, 낙상 예방 등 안전교육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지팡이는 약함의 상징이 아니라 건강하고 독립적인 삶을 지켜주는 도구”라고 말했다.


[사진 출처: 가족과 함께 지팡이를 고르는 어르신의 모습, 챗gpt 생성]

맞춤형 지팡이 선택이 중요

전문가들은 지팡이를 무작정 구입하기보다 체형과 생활환경에 맞는 제품을 고르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적절한 길이는 팔꿈치를 15도 정도 굽혔을 때 손잡이에 닿는 높이가 기준이 된다. 

 

또한 손잡이는 미끄럽지 않은 소재를 권장하며, 끝부분에는 반드시 미끄럼 방지 고무 패드가 있어야 한다. 균형감이 부족한 어르신에게는 4발 지팡이(쿼드케인)가 도움이 된다.

 

이경미 센터장은 “지팡이를 단순한 의료기구로 인식하지 말고, 어르신이 직접 선택할 수 있는 생활 필수품으로 바라봐야 한다”며 “디자인이나 색상을 고려해 만족스러운 지팡이를 고를 때 사용률도 훨씬 높아진다”고 조언했다.


 

노인의 낙상은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지팡이 하나가 어르신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는 첫걸음이 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가족과 사회가 지팡이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바꾸고, 어르신들이 적극적으로 지팡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박병무 박사는 마지막으로 “지팡이를 짚는 어르신을 안쓰럽게 보는 시선부터 바꿔야 한다. 지팡이는 건강하고 당당한 노후의 상징이며, 안전한 삶을 위한 필수품”이라고 강조했다.

 

 

 

 

 

 

 

작성 2025.09.19 23:21 수정 2025.09.19 23:21

RSS피드 기사제공처 : 라이프타임뉴스 / 등록기자: 최수안 정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