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정보신문] 이미영기자=쇼핑몰이든 오피스빌딩이든, 공간을 공급하면 사람이 모였고, 그 안에서 장사가 됐다. 하지만 온라인과 디지털이 일상에 깊숙이 들어온 지금, 오프라인 공간은 그저 ‘존재하는 것’만으로는 살아남을 수 없다.
쇼핑몰, 오피스, 상업시설, 산업단지까지. 각자의 방식으로 시대의 요구에 맞춰 스스로를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 이제는 단순히 ‘상품을 팔거나 공간을 빌려주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머물고 싶은 이유를 만들어내는 것이 공간의 가치가 되는 시대다.
쇼핑몰, 물건보다 경험을 파는 공간으로
예전의 쇼핑몰은 정해진 동선을 따라 한 칸씩 돌아다니며 물건을 고르는 곳이었다. 지금은 그 공식이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
여의도 더현대서울에 들어선 순간, 정해진 동선도, 구획도 없는 자유로움이 느껴진다. 걷다 보면 체험형 팝업스토어와 포토존이 자연스럽게 나타나고 소비자들은 ‘사는’ 것이 아니라 ‘머무는’ 경험을 하게 된다. 스타필드는 스포츠와 문화 공간을 접목했고, 롯데월드몰은 아트 스튜디오형 플래그십 매장으로 쇼핑과 문화를 결합한 공간으로 거듭났다.
쇼핑몰은 더 이상 단순히 물건을 파는 곳이 아니다. 사람들이 시간을 보내고, 감성을 소비하며, 기억을 남기는 공간으로 변하고 있다.
오피스빌딩, 가치를 지키며 변화를 더하다
오피스빌딩의 입지와 상징성은 여전히 부동산 가치의 핵심이다. 하지만 그 가치를 유지하고 높이기 위해 대형 오피스빌딩들도 변화를 고민하고 있다.
여의도 파크원 타워는 프리미엄 오피스 기능에 카페, 라운지, 피트니스, 웰니스센터를 더해 임차인 만족도를 끌어올렸다. 종로 D타워는 오피스, 상업시설, 문화공간을 함께 구성해 일하는 사람뿐 아니라 방문객에게도 열린 복합 공간이 됐다. 많은 오피스 빌딩들이 커뮤니티 라운지와 공용 휴게공간을 마련해 일과 여가, 교류를 함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
입지와 면적은 오피스의 기본이다. 하지만 오늘날 대형 오피스빌딩은 그 기본 위에 ‘일하고 싶은 공간’이라는 가치를 더해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
성수동, 팝업스토어가 도시를 바꾸다

성수동은 공장지대에서 트렌드의 중심지로 변신한 대표 사례다. 브랜드들은 이곳에서 단순히 상품을 파는 게 아니라 브랜드를 체험하고 문화를 나누는 팝업스토어를 연다. MZ세대가 줄을 서는 이곳 팝업스토어는 브랜드의 실험실이자 감성 마케팅의 전진기지로 통한다.
소비자는 물건을 사러 가는 것이 아니라, 브랜드를 ‘경험’하러 성수동을 찾는다. 성수동의 변화는 상업공간이 단순한 임대사업을 넘어 브랜드와 고객이 만나는 무대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식산업단지, 스마트 융합으로 미래를 열다
지식산업센터와 산업단지는 한때 제조업 기반의 저렴한 임대공간으로 인식됐지만 지금은 새로운 길을 찾고 있다. 스마트팜, 바이오, 첨단 R&D 스타트업들이 지식산업센터의 새로운 입주 타깃으로 부상하며 스마트 물류 시스템, 오픈랩, 클린룸 같은 특화시설을 갖춘 첨단 융복합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다.
산업단지는 이제 저렴한 임대료 이상의 가치를 제공해야 하는 시대다. 입주사의 성장과 산업 트렌드에 맞춘 진화가 생존의 필수 전략이 되고 있다.
공간은 여전히 가치를 품고 있다
부동산의 자산 가치는 여전히 변함이 없다. 하지만 그 가치를 지키고 성장시키기 위해 공간은 사람과 시간을 사로잡는 이유를 만들어야 한다. 쇼핑몰은 문화와 경험으로, 오피스는 커뮤니티와 복지로, 상업공간은 브랜드의 무대로, 산업단지는 첨단과 융합의 플랫폼으로. 과거에는 팔기 위해 만들었지만, 이제는 사람을 머무르게 하기 위해 만들어야 한다.
오프라인 공간의 미래는, 그 공간이 사람에게 어떤 ‘이유’를 주느냐에 달려 있다.
위의 리맥스저널 8월호에 게재되었던 글입니다.
매물 확인:https://remaxkorea.co.kr/
중개 관련 정보: http://www.remaxkore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