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2주 연속 확대…비규제지역 마포·성동이 견인

가격의 풍선효과

서울 아파트값이 2주 연속 오름폭을 키웠다. 정부가 강남 3구와 용산구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재지정하며 규제의 고삐를 죄고 있지만, 풍선효과는 이미 비규제 지역으로 번진 모양새다.

 

한국부동산원이 18일 발표한 9월 셋째 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전체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12% 상승했다. 직전 주보다 0.03%포인트 오름폭이 커지며 2주 연속 확대세를 이어간 것이다.

 

눈길을 끄는 대목은 한강 벨트 내 비규제 지역인 마포와 성동의 강세다.성동구는 0.27%에서 0.41%로,마포구는 0.17%에서 0.28%로 각각 상승폭이 커졌다. 양천구 역시 0.19%로 상승률을 키우며 서울 전반의 오름세를 뒷받침했다.

 

현장 거래도 활발하다. 지난 13일 마포구 염리동 마포자이 전용 113㎡가 26억5천만 원에 계약됐고, 성동구 행당동 서울숲리버뷰자이 84㎡는 25억1천만 원에 팔리며 신고가를 다시 썼다. 매수세가 단순한 기대감이 아닌 실거래로 확인되고 있다는 점에서 시장의 체감 열기는 더 뜨겁다.

 

규제지역인 강남 3구와 용산은 혼조세를 보였다. 강남구와 용산구는 각각 0.12%로 오름폭이 소폭 줄었지만, 서초(0.17%), 송파(0.19%), 강동(0.14%) 등은 되레 상승폭을 확대했다. 재건축 추진 단지와 대단지, 역세권을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늘어난 영향이다.

 

서울시는 전날 도시계획위원회를 통해 강남 3구와 용산구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내년 말까지 연장했지만, 마포·성동 등 인근 선호지역은 논의 대상에서 제외했다. 이로써 ‘규제의 빈틈’을 파고든 수요가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는 지난 9·7 부동산 대책에서 국토교통부 장관이 직접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지정할 수 있도록 권한을 강화하는 입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입법이 완료되는 대로 한강 벨트 내 비규제지역에 대한 추가 규제 가능성이 제기되는 이유다.

 

이재명 대통령 역시 지난 11일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투기 수요를 억제하기 위한 추가 대책이 필요하다”고 언급하며 시장에 경고음을 울렸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규제 의지가 확인된 만큼 추가 규제 지정은 시간문제일 수 있다”고 전망한다.

 

서울의 기세는 수도권과 전국으로 확산되는 모양새다. 수도권 전체는 0.04% 오르며 직전 주(0.03%)보다 상승폭을 키웠다. 인천은 보합을 유지했으나 경기도는 보합에서 0.01% 상승으로 전환했다.

 

지방도 하락세가 완화됐다. 세종시는 -0.05%에서 +0.10%로 반전했고, 8개 도 역시 보합세로 돌아섰다. 전국 평균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0.02%로 집계돼 2주 연속 확대세를 나타냈다.

 

전세시장도 매매와 보조를 맞췄다. 서울 전세가는 0.07% 오르며 역세권·학군지를 중심으로 강세를 이어갔다. 수도권 전체 전세가격은 0.04%, 지방은 0.01%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현 상황을 두고 “수요자와 정부 간 힘겨루기 국면”이라 평가한다. 규제지역의 고삐를 죄면 비규제지역이 들썩이고, 다시 규제를 확대하면 또 다른 곳으로 수요가 옮겨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는 것이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현재의 상승세는 재건축 단지, 학군지, 역세권 등 선호도가 높은 단지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추가 규제가 현실화될 경우 시장의 흐름이 급격히 달라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문의:010-9624-4400

작성 2025.09.19 10:37 수정 2025.09.21 10:28

RSS피드 기사제공처 : 한국AI부동산신문 / 등록기자: 김현희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