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글로벌모터스(GGM) 노조 파업 여파로 현대자동차 캐스퍼 일렉트릭(EV)의 공급이 지연되면서, 중고차 가격이 신차 가격을 웃도는 이례적인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중저가 전기차를 원하는 소비자들은 웃돈을 주고 중고차를 사거나, 1년 이상 신차를 기다려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엔카닷컴, KB차차차, 현대글로비스 오토벨 등 주요 중고차 플랫폼에서 거래되는 캐스퍼EV 매물 가격은 2,700만~3,100만 원대로 나타났다. 이는 트림별 신차 가격(2,787만~3,337만 원)과 큰 차이가 없으며, 일부 모델은 보조금을 제외한 신차 실구매가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예컨대 2024년 11월식 인스퍼레이션 트림(주행거리 1만 1,805㎞)은 3,050만 원에 매물로 올라 있는데, 해당 모델의 신차 가격은 3,137만 원이다. 여기에 정부 보조금 500만 원과 지자체 보조금을 합치면 실제 구매가는 2,500만 원대에 불과해 중고차가 오히려 더 비싸게 형성되는 역전 현상이 나타난다.
이 같은 상황은 캐스퍼EV의 높은 인기와 더불어 공급 병목이 겹치면서 발생했다. 현재 신차 계약 후 차량 인도까지는 약 15개월 이상 대기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중고차 시장으로 수요가 몰리며 가격이 급등한 것이다.
신차의 경우 보조금 적용으로 실구매가가 낮아질 수 있지만, 보조금 규모는 지역별로 차이가 크고 신청 절차와 조건도 복잡하다. 반대로 중고차는 이러한 혜택이 대부분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가격 비교가 어렵고, 소비자 입장에서는 혼란이 커지고 있다.
소비자들의 선택도 달라지고 있다. 일부는 긴 납기를 감수할 수 없어 중고차를 택하고 있으며, 또 다른 이들은 신차를 구매하더라도 최고급 사양이 아닌 중간 수준의 트림을 선택해 가격 부담을 줄이고 있다. 아울러 기아 EV3, BYD 아토3 등 다른 보급형 전기차로 관심을 돌리는 사례도 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현상이 단순한 시장 과열이 아니라 생산 차질과 공급 병목에서 비롯된 구조적 문제라고 지적한다. 이에 따라 광주글로벌모터스는 생산 라인의 가동률을 높이고 설비 투자를 확대하는 동시에 노사 갈등을 조속히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또한 정부와 지자체는 보조금을 중고차에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지급 절차를 간소화하며, 전기차 공급과 수급을 조율할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소비자 보호 차원에서는 중고차 거래 시 보증 기간, 수리 이력, 주행거리 등 주요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 시장 신뢰를 높여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업계 관계자는 “보조금을 고려하면 신차가 더 저렴함에도 중고차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것은 공급 부족과 소비자 조급 심리가 맞물린 결과”라며 “생산 안정화와 정책 개선 없이는 이러한 기현상이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