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글로벌모터스(GGM)의 노조 파업 장기화와 생산 차질로 인해 캐스퍼 일렉트릭(캐스퍼EV)의 중고차 가격이 신차를 웃도는 기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신차 계약 시 최소 1년 이상을 기다려야 하는 상황에서, 소비자들은 웃돈을 얹어 중고차를 구매할지, 긴 대기 시간을 감수할지를 두고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엔카닷컴·KB차차차·현대글로비스 오토벨 등 주요 온라인 중고차 플랫폼에는 캐스퍼EV 매물이 2700만~3100만 원대에 다수 올라와 있다.
대표적으로, 2024년 11월식 인스퍼레이션 트림(주행거리 1만 1805km)은 3050만 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는 신차 기준가 3137만 원보다 낮아 보이지만, 정부 보조금(500만 원)과 지자체 보조금을 합치면 실구매가는 2000만 원 초중반대로 형성된다. 이 때문에 일부 중고차 가격은 사실상 신차 실구매가보다 비싼 상황이다
.
서울시는 전기차 보조금으로 60만 원을, 부산시는 최대 280만 원을 지원한다. 따라서 소비자가 신차를 직접 구매할 경우 실제 지출은 중고차 가격보다 훨씬 낮아지는 셈이다.

캐스퍼EV 중고차 시세는 지난달 대비 약 4.7% 상승했으며, 중저가 전기차 모델 중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현상에 대해 *GGM 노조 파업으로 인한 생산 차질 *수출 물량 확대에 따른 내수 공급 부족 *납기 장기화를 주요 원인으로 꼽는다.
실제로 8월 납기표 기준, 캐스퍼EV는 계약 후 인도까지 최소 15개월 이상 소요, 일부 사례에서는 22개월까지 대기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GGM 노조는 임금 인상 등을 요구하며 올 1~2월 부분파업에 나선 바 있다. 지난달 22일과 이달 1일에 노조가 부분파업을 했으며, 최근에는 노조 지회장이 윤몽현 GGM 대표 등 경영진을 특수상해·상해·모욕·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하는 등 갈등이 격화되며 생산 정상화 전망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소비자들은 중고차 구매 시 웃돈을 지불해야 하지만, 보증·잔존가치 리스크를 감수해야 한다. 반대로 신차를 선택하면 긴 대기 기간과 불확실성을 감내해야 한다. 결국, 중저가 친환경차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캐스퍼EV의 중고차 시세 급등은 내수 전기차 시장의 왜곡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라며 “노사 갈등 해소와 내수 물량 안정화 없이는 소비자 피해가 이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