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세금으로 만든 자료, 이제 AI가 똑똑해진다

1,100만 건의 공공저작물, AI 학습에 전면 개방
정부가 보유한 공공자료 1,100만 건이 앞으로는 인공지능(AI) 학습에 자유롭게 쓰일 수 있게 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월 11일 열린 ‘ICT 규제샌드박스 심의위원회’에서 공공저작물을 활용한 AI 학습 프로젝트를 허용하기로 했다. 그동안 공공저작물은 ‘출처 표시’나 ‘변경 금지’ 같은 조건 때문에 AI 학습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이번 조치로 AI 학습 과정에서는 출처 표기가 간소화되고, 데이터를 가공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 기사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이번 결정으로 무려 1,180만 건의 공공저작물이 AI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한국지능정보화사회진흥원(NIA)이 이 자료들을 정리해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하는 5개 연구팀에 제공할 예정이다. 쉽게 말해, 국민 세금으로 모인 공공자료가 이제는 우리나라 AI의 머리를 키우는 영양분이 되는 셈이다.

정부는 이번 조치로 국내 AI 기술의 경쟁력이 강화되고, AI 기반 서비스가 국민 생활 속에서 더 많이 확산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만 예기치 못한 저작권 문제를 막기 위해 안내 절차와 보험 가입 같은 안전장치도 마련됐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홈페이지를 통해서 확인 할 수 있다.

작성 2025.09.11 15:58 수정 2025.09.11 19:31

RSS피드 기사제공처 : IT경제신문 / 등록기자: 이대운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