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뇌과학자는 한가지에 대해 크게 경고했습니다.
바로 “영상”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와 ‘뇌의 영향’에 대해서였는데요,
숏츠, 릴스, 틱톡 등을 한번 시작하면
끝없이 보게되고 계속 이어지는 영상에..
다른 것들은 하기 귀찮아지는 자신을 느낀적이 있었다면
이 글을 주의해서 읽어보야야 할 것입니다.

<유튜브 ‘장동선의 궁굼한 뇌’ 채널내 영상 캡쳐화면 >
재미있고 웃긴 영상이 담긴 숏츠를 몇시간이나 들여다 보았는데
머릿속에 남은건 아무것도 없다는 사실!
오히려 더 멍 해지는 경우가 다반사였을 것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 습관이 오래갈수록
집중력과 사고력 자체가 무너진다는 겁니다.
실제로 최근에는 많은 사람들이 긴 글을 커녕
긴 영상도 끝까지 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재생속도를 올려 빠르게 보거나 중간중간 지루한 부분을 견디지 못하고 넘겨버리기도 하죠.
이에대해 뇌과학자는 이렇게 말합니다.
“숏폼 시청만은 추천하지 않아요!”
“숏폼 한시간 볼바에 롱폼 1개를 보는 것이 뇌에는 더 긍적적! ”
왜 그럴까요??
바로 숏폼의 악영향 때문입니다.
숏폼을 오래 보다보면 ‘즉각보상’에 해당되는 ‘도파민’이 생성되고
구체적이지 않고 피상적인 정보들만 뇌에 남게됩니다.
1차원적이고 직접적인 감정에만 집착하게 되는 경향도 있는데요,
예를 들면 ‘춥다’, ‘재밌다’, ‘웃기다’, ‘무섭다’ 와 같은 감정만 가질뿐
그 뒤 이면에 숨겨진 의미를 추론하거나 공감능력 등이 떨어지게 된다는 것입니다.
또한, 숏폼을 오랜 시간 시청하다보면 무언가를 깊이 이해하고 추론하는 능력이 저하된다고 합니다.
부모가 자녀에게 어떠한 것을 지시할 때는 자녀들은 어떤 행동을 해야할지 추론해야 하는데
주어진 정보를 종합하고 추론해야 하는 사고력, 학습능력 등이 저하되다보니
부모님의 어떤 얘기를 하고 있는지 잘 이해하지 못하고
부모님의 이야기에 따라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지 알아차리지 못하는 일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죠
게다가 숏폼은 ‘기억력 감퇴’를 촉진시키고 ‘사실여부에 대한 판단’이나 그것을 구분하는 능력도 떨어지게 됩니다.
더욱 문제인 것은 이 숏폼 중독이 마약중독, 알콜중독과 같은 중독자들에게 나타나는
동일한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그 증상이 바로 무기력증입니다.
알콜중독이나 마약중독자들도 다른 어떠한 일보다도 술을 마시거나 마약을 하는 것에만 집착합니다.
다른 해야 하는 일들을 하고싶지 않아 하고
오로지 중독에 의한 쾌락만을 바라는 무기력한 인간이 되는 것이죠
숏폼이 뇌에 그러한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유튜브 ‘장동선의 궁굼한 뇌’ 채널내 영상 캡쳐화면 >
그럼 어떻게 해야 하나요?
만약 영상을 보고 싶다면
롱폼을 시청하기를 권장합니다.
롱폼의 장점은 자연스럽게 다음 장면을 생각하고 추론하게 되고
그에 따른 집중력과 몰입도가 상승하게 됩니다.
몰입해서 시청했을 때 느낄 있는 감동은 덤이 됩니다.
롱폼 시청은 노르에피네프린과 아드레날린 분비를 촉진시켜 주고
뇌안에서도 훨씬 다양하고 많은 네크워크들이 활성화되게 됩니다.
롱폼 콘텐츠를 볼떄는 그 내용안에 빨려 들어가서
다른 누군가의 삶을 대신 경험하는 일들이 일어나는데
이 과정에서 질적 도파민이 뿜어져 나온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롱폼 콘텐츠를 보면 공감능력과 예측능력이 향상하며,
생각, 감정, 지식을 상대방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능력인 조망수용 능력이 상승된다고 합니다.
집중력과 창의력을 기를 수있는 것은 물론이고, 스스로에게 동기부여를 주는 효과까지
있다고하니 즉각 보상을 주는 숏폼과는 차원이 다른 세상을 안겨줄수도 있겠습니다.
또한, 긴장감과 스릴 있는 영화를 보면 뇌가 스트레스를 받게되는데
이런 적당한 긴장감과 스트레스를 받다가
영화가 절정을 지나 갈등이 해소되면
우리의 뇌도 도파민이 분비되며 쾌감을 느끼고 모든 감정이 해소되면서 휴식의 경험을 겪을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이 뇌에 긍정적이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입니다.
뇌도 근육과 같아 사용하지 않으면 점점 기능을 잃게 됩니다.
숏폼 속에 살면서 뇌가 더이상 생각을 할 수 없도록 한다면
결국 나의 뇌는 많은 능력들이 떨어질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이 뇌 과학자의 의견과 같이
내가 나의 영화의 주인공이라고 생각한다면 숏폼과 같이 단편적으로 살고 싶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조금 더 다양하고 폭넓은 나의 인생을 위해서도
이 글을 읽고 난 뒤에는 숏폼에 매달리는 나와 내 자녀를 붙잡아야 할 때가 아닌가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출처 및 참고자료
- 유튜브 채널 ‘장동선의 궁굼한 뇌’
- 네이버블로그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changeupbooks&logNo=223996199480&proxyReferer=&noTrackingCode=tru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