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참여 자원, 국민건강연구로 이어집니다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국민건강 증진 위한 6,590명분 인체자원 추가 공개

국민건강영양조사사업 제9기 2차년도(’23년) 검체자원화 과제를 통한 6,248명의 인체자원과 희귀질환 용역 과제를 통한 342명의 인체자원을 추가 공개

보건의료 연구 및 희귀질환 진단·치료기술 개발에 활용 가능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 국립보건연구원(원장 박현영)은 국민건강영양조사와 희귀질환 연구를 통해 확보한 총 6,590명의 인체자원*을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이하 중앙은행)을 통해 9월 3일자로 공개 분양한다.

 * 인체유래물(DNA, 혈청, 혈장, 뇨), 임상․역학정보 등

 

 이번에 공개되는 인체자원은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9기 2차년도(2023년) 참여자 6,248명의 혈액·소변 등의 검체와 건강정보, ▲ 아밀로이드증, 희귀 사구체신염 및 조직구증식증과 같은 희귀질환자 342명의 검체와 임상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원은 고혈압·당뇨 등 만성질환 연구, 흡연·음주 등 생활습관과 건강의 연관성 분석, 감염병 항체 보유율 조사 등에 활용된다. 

이를 통해 국민 건강상태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보다 효과적인 예방·관리 대책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환자 수가 적어 연구가 어려운 희귀질환 검체를 국가 차원에서 제공함으로써, 희귀질환 병인 규명, 바이오마커 발굴 및 임상연구 네트워크 구축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중앙은행이 공개하는 모든 인체 자원은 중앙은행 누리집에서 분양신청*이 가능하며, 중앙은행 분양위원회 심의를 거쳐 연구자에게 제공될 예정이다.

 * 자세한 분양신청 방법 및 구비서류는 분양 상담 콜센터(1661-9070) 또는 중앙은행 누리집(https://biobank.nih.go.kr)을 통해 확인 가능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이번에 공개하는 인체자원은 보건의료 연구 및 희귀질환 진단·치료기술 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며,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은 앞으로도 더 많은 고품질의 인체자원을 확보하여 보건의료 연구 활성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공개하겠다”라고 밝혔다.

 

 

【 ’25년도 제2차 공개대상 인체자원 】

 
  

◈ 중앙은행 직접수집 또는 기탁을 통해 확보한 총 6,590명분의 인체자원(인체유래물, 임상역학정보)를 ’25년 9월부터 추가 공개 분양 예정

 

① 국민건강영양조사 사업(KNHANES)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9기 2차년도(’23년) 검체자원화 6,248명분 인체유래물(DNA, 혈청, 혈장, 뇨) 및 임상·역학정보 

 ※ 누계 41,737명(기존 35,489명, 추가 6,248명)

 

② 희귀질환 용역사업 3개 과제

 - 아밀로이드증, 희귀 사구체신염, 조직구증식증 등 희귀질환자 342명분 인체유래물(gDNA, 혈청, 혈장, 연막) 및 임상·역학정보 

 ※ 누계 684명(기존 342명, 추가 342명)

 

작성 2025.09.03 23:05 수정 2025.09.03 23:05

RSS피드 기사제공처 : 보건의료신문 / 등록기자: 박태훈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