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을 읽는 게 아니라, 그때 나는 나를 들여다보고 있었다
1. 독서는 타인을 빌려 나를 만나는 일이다
책장을 넘기는 순간, 우리는 남의 인생을 훔쳐보는 듯한 기묘한 감각에 사로잡힌다. 이국의 도시에서 사랑을 놓쳐버린 어느 여인의 이야기, 전쟁터에서 친구를 잃은 병사의 회한, 세상을 떠난 아버지의 마지막 편지. 처음엔 그저 ‘남의 이야기’였을 것이다. 그러나 어느 순간 그 문장이 내 마음을 툭 건드린다. 그리고 생각한다. “왜 나는 이 문장에서 멈춰 섰을까?”
독서는 타인의 삶을 빌려 나를 만나는 일이다. 책은 말을 걸지 않는다. 대신 조용히 거울을 내민다. 나는 그 거울을 들여다보며, 문장이라는 조각들 사이에서 스스로의 상처, 결핍, 욕망, 혹은 꿈의 윤곽을 더듬는다. 결국 우리가 책을 읽는 이유는, 그 안에 남아 있는 ‘타인의 마음’을 빌려, ‘나의 마음’을 이해하고 싶어서다.
우리는 글자가 아닌 ‘감정’을 읽는다. 그래서 어떤 책은 기억에도 없는데, 어떤 책은 수십 년이 지나도 선명하다. 그건 문장의 힘이 아니다. 그건, 그 시절 내 감정의 힘이었다.
2. 문장 하나에 흔들리는 이유: 우리는 누구를 읽는가
“나는 그 문장을 몇 번이고 다시 읽었다.”
누구나 이런 경험이 있다. 문장 하나가, 말도 안 되게 마음을 덮치는 순간. 단순히 글이 잘 써졌기 때문은 아니다. 그 문장이 너무 나 같았기 때문이다.
우리는 늘 자신을 이해하려 애쓰지만, 언어로는 표현하지 못하는 것들이 있다. 외로움, 질투, 자책, 그리움, 그리고 미처 정의 내릴 수 없는 복잡한 감정들. 그런데 책 속 어딘가에 그것을 ‘정확히’ 써놓은 문장이 있다. 그때, 우리는 무너진다.
문장에 쓰러진다는 건, 그 감정을 이제야 받아들인다는 뜻이다.
문장은 항상 그 자리에 있었지만, 우리가 그 문장을 ‘발견하는 순간’은 언제나 우리 마음이 준비된 순간이다. 그래서 책은 항상 같지만, ‘읽는 나는 달라진다’. 우리는 매번 같은 문장을 다른 눈으로 읽는다. 그리고 그때마다 다른 나를 만난다.
3. 책 속 인물과 나, 닮음이 말해주는 자아의 단서들
왜 우리는 책 속의 인물에게 그렇게 몰입하는 걸까?
때로는 주인공이 이해되지 않아 짜증이 나고, 어떤 때는 조연의 한 문장이 오래 마음에 남는다. 심지어 전혀 다른 시대의, 전혀 다른 환경의 인물인데도 왠지 이해된다. 이유는 간단하다.
그들은 우리가 될 수도 있었던 또 다른 모습이기 때문이다. 심리학에서는 이를 ‘투사(projection)’라고 한다. 독자는 인물에게 자신의 감정이나 욕망을 투사하고, 그 과정을 통해 자기를 인식한다. 나는 그가 아니지만, 어쩌면 될 수도 있었을 나를 발견한다. 그렇게 우리는 책 속 인물의 결정과 감정을 통해, ‘내가 내릴 수 없는 선택’을 간접적으로 경험하며, ‘내 안의 미지’를 탐험한다.
그리고 깨닫는다. “나는 생각보다 약했고, 의외로 강했고, 참 많이 참아왔구나.” 책 속 인물은 나를 닮았고, 어쩌면 나보다 나를 더 정확히 드러냈다. 읽고 나면, 더 이상 나는 예전의 내가 아니다.

4. 읽은 만큼 깊어진다, 독서가 만든 나의 지도
우리는 자아를 가지고 태어나지 않는다. 자아는 읽고, 듣고, 부딪히고, 느끼며 ‘만들어가는 것’이다. 책은 그 제작자의 도구 중 하나다. 어떤 사람은 한 권의 책으로 인생이 바뀌고, 어떤 사람은 수천 권을 읽고도 여전히 헤맨다. 그러나 중요한 건 숫자가 아니다. 중요한 건, 그 책이 “나를 데려간 곳”이다.
책은 때로 위로였고, 때로는 엄격한 충고였다. 어떤 문장은 내가 마주하고 싶지 않은 감정을 들춰냈고, 어떤 구절은 묻어두었던 상처를 보듬었다. 그렇게 책을 통해 나를 들여다보는 과정은, ‘지도 없는 여행자’였던 내가 나만의 내면 지도를 그려가는 과정이기도 했다.
내가 어떤 상황에서 흔들리는 사람인지, 어떤 문장에 반응하는 사람인지, 어떤 이별을 오래 앓는 사람인지… 책이 아니었다면 몰랐을 것이다. 책은 나를 가르치지 않았다. 대신 나를 '드러냈다'.
? 마무리: 당신은 어떤 문장을 기억하고 있나요?
책은 읽을 때보다 덮었을 때 더 많은 말을 한다.
당신이 마지막으로 읽은 문장은 무엇이었나요?
그리고 그 문장이 남긴 건, 무엇이었나요?
책을 읽는다는 건 곧 나를 읽는 일이다.
그 문장들이 당신에게 어떤 감정의 단서를 남겼는지, 오늘 밤 한 번 생각해보면 어떨까.
우리는 종종, 책 속에서 가장 솔직한 자기 자신을 발견하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