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드르렁드르렁, 밤마다 울리는 코골이 소리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코골이는 단순한 소음이 아니라, 수면 중 숨을 멈추는 '수면무호흡증'의 중요한 위험 신호일 수 있다.
수면무호흡증을 방치하면 고혈압, 심근경색, 뇌졸중 등 치명적인 심혈관 질환을 초래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코골이가 위험한 이유
코골이는 좁아진 기도를 통해 공기가 지나가면서 목젖이나 연구개가 떨려 나는 소리다.
그런데 코골이 소리가 멈추고 10초 이상 숨을 쉬지 않는다면 수면무호흡증을 의심해야 한다.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 반복적으로 호흡이 멈추거나 얕아지는 질환으로, 체내 산소 공급을 방해하고 심장에 큰 부담을 준다.
이는 결국 만성적인 피로와 주간 졸림증을 유발하고, 장기적으로는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을 3배 이상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아의 경우 성장 발달과 학습 능력 저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수면무호흡증, 어떻게 치료할까?
수면무호흡증 치료의 첫 단계는 전문의와 상담하여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다. 검사를 통해 무호흡증의 정도와 원인을 파악한 후, 환자에게 맞는 치료법을 선택하게 된다.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은 양압기(CPAP) 착용이다.
잠자는 동안 공기를 불어넣어 기도를 넓혀주는 장치로, 대부분의 환자에게서 증상 개선 효과가 탁월하다. 체중 감량, 금연, 금주 등 생활 습관 개선도 증상 완화에 큰 도움이 된다.
만약 양압기 치료가 어렵거나 코골이의 원인이 구조적 문제라면 수술을 고려할 수도 있다.
밤마다 찾아오는 코골이를 대수롭지 않게 넘기지 말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건강한 수면을 되찾는 것이 중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