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골프장 요금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2025년 들어 주말 라운드 1인당 비용이 30만 원을 넘어섰으며, 이는 일본·중국 등 주변국과 비교해 과도하게 높은 수준이다. 업계는 내장객 감소를 이유로 요금을 인상했지만, 가격 폭등이 다시 소비자 감소를 부르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의 골프장 요금 정책 또한 실효성 논란에 휩싸였다. 대중형 골프장 요금 상한제를 도입했지만, 회원제 평균 비회원 요금을 기준으로 한 ‘평균값’ 산정 방식은 허술하다는 평가다. 인기 시간대에는 요금을 올리고 비인기 시간대에만 낮추는 식으로 운영해도 제재할 방법이 없어, 사실상 소비자 보호 효과가 없다는 것이다.
세제 혜택 역시 업주 중심으로 설계됐다는 비판이 나온다. 회원제 골프장은 각종 세금 감면을 받는 반면, 대중형 골프장은 더 높은 보유세를 부담하고 있어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이다. 이는 골프 대중화라는 정책 취지와도 맞지 않는다.
골프장 예약 문제도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예약 전쟁이 지속되고 있으며, 예약 대행업체가 웃돈을 챙기는 구조적 병폐가 사라지지 않고 있다. 또한 음식 반입 금지 정책은 ‘위생 문제’라는 명분에도 불구하고 고가 식음료 판매를 위한 꼼수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특히 회원제 골프장의 ‘깡통화’가 본격화되고 있다. 최근 절반 이상의 회원제 골프장이 골프홀당 가치 하락으로 회원권 시세가 폭락하고 있으며, 일부는 이미 회생 절차에 돌입했다. 이로 인해 대규모 회원 피해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 사회적 파장이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한국 골프장 산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요금 투명화 △예약 시스템 공정화 △세제 형평성 확보가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업계 스스로는 변화를 만들어낼 동인이 부족해, 정부와 소비자 단체의 강력한 개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유튜브 폴영상 보러가기 : https://youtu.be/6P4tmM8Uaf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