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양주 도심역 인근 '파르베 피아노 스튜디오' 전하윤 원장 © 파르베피아노스튜디오 |
남양주 도심역 인근에 자리한 파르베 피아노 스튜디오. 이름처럼 다양한 색깔을 담아내듯, 이곳은 초등학생부터 성인까지 각자의 속도와 목표에 맞는 피아노 교육을 제공하는 공간이다. 기자가 전하윤 원장을 만났을 때, 그는 아이패드로 자료를 정리하며 인터뷰를 시작했다. 차분하지만 단호한 어조 속에는 자신이 걸어온 음악적 여정과 교육자로서의 확고한 철학이 담겨 있었다.
전 원장은 스튜디오를 소개하며 “저희는 3대1, 1대1 레슨을 중심으로 하고 있어요. 처음 피아노를 접하는 아이부터 입시를 준비하는 학생, 그리고 작품이나 교회 반주를 배우고 싶어 하는 친구들까지 수준별로 나눠 지도를 하고 있습니다.”라고 설명했다.
![]() ▲ 사진 = 파르베 피아노 스튜디오 |
특히 초등학생과 미취학 아동을 위한 체험형 원데이 클래스가 눈길을 끈다. 피아노에 흥미가 있는지 아직 모르는 아이들이 부담 없이 접해볼 수 있도록 마련된 프로그램이다. 또한 입시생들을 위해 영재원이나 예중·예고 준비반, 대입 준비반 등 세분화된 커리큘럼도 운영 중이다.
그녀의 음악 인생은 태어나기 전부터 시작됐다. “어머니가 피아노 학원을 운영하셨어요. 자연스럽게 피아노가 제 친구가 됐죠.” 하지만 어린 시절 전 원장은 피아노를 좋아하지 않았다. 초등학교 6년 동안 억지로 치며 시간을 보냈고, 중학교 때는 예고 진학을 권유 받았음에도 아예 손을 놓았다.
![]() ▲ 사진 = 파르베 피아노 스튜디오 |
그러다 고등학교에 진학하며 예상치 못한 전환점이 찾아왔다. “첫 중간고사 후 대학을 가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가장 쉬운 길이 뭘까, 생각하던 끝에 다시 피아노를 잡았어요.” 학업을 위해 시작한 길이었지만, 그녀는 학기중 4-5시간, 방학 중엔 12시간 이상 연습하며 치열한 노력 끝에 결국 전공의 길을 걷게 됐다.
대학 졸업후에는 대학원에 진학해 교수법을 공부했지만, 연주에 대한 연구 없이 이론만으로는 아이들을 가르칠 수 없다는 한계에 부딪혔다. 결국 연주과로 다시 진학하며 교수자일 뿐 아니라 연주자로서의 시각을 넓혔고, “아이들과 밀착해 지도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자”는 결심 끝에 파르베 피아노 스튜디오를 열었다.
“여러 선생님들이 함께 가르치면 아이들이 혼란스러워지더라고요. 그래서 1대1 혹은 소수 인원만 집중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했어요.”
![]() ▲ 사진 = 파르베 피아노 스튜디오 |
스튜디오의 자랑을 묻자, 전 원장은 방음 시설과 그랜드 피아노를 꼽았다. “중형급 이상의 그랜드 피아노를 사용하고 있어요. 울림이 풍부해서 입시나 콩쿠르를 준비하는 학생들도 충분히 연습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그녀는 연주자로 활동하며 끊임없이 연구를 하고 있기 때문에 개인별 맞춤 커리큘럼과 교수법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전 원장은 피아니스트로, 대학 반주자로 활동하며 현역 연주자로서의 감각을 유지하고 있고, 성인 수강생들과 클래식 연주회를 열 만큼 깊이 있는 지도를 하고 있다. “많은 성인분들이 ‘클래식을 제대로 배울 곳이 없어서 왔다’고 말씀하세요. 그래서 더욱 수준 높은 레슨을 제공하려 노력합니다.”
![]() ▲ 사진 = 파르베 피아노 스튜디오 |
전하윤 원장은 독학으로 피아노를 시작해 작곡 전공을 꿈꾸던 학생, 그리고 수능 후 갑자기 입시를 준비한 학생의 이야기를 들려줬다. 한 학생은 국민대에 합격했고, 또 다른 학생은 예비 번호로 아쉽게 끝났지만 끝까지 최선을 다했다. 전 원장은 “짧은 기간이었지만 함께 땀 흘리며 성장했던 과정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말했다.
![]() ▲ 사진 = 파르베 피아노 스튜디오 |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연주회 기획을 언급했다. “아이들뿐 아니라 부모님과 함께 무대에 설 수 있는 가족 듀오 무대도 꿈꾸고 있어요. 음악이 가족 간의 대화와 교감의 매개체가 될 수 있죠.”
또한 그녀는 지역 사회와 연계한 문화 행사에도 관심을 보였다. “지자체와 협력해 작은 연주회나 음악·인문학 특강을 열고 싶습니다. 피아노가 어렵고 멀게 느껴지지 않고, 우리가 잘 아는 문학·미술과 연결된다는 걸 알리고 싶어요.”
▲ 사진 = 파르베 피아노 스튜디오 전하윤 원장 연주회 |
“학부모님들께는 아이들이 잘 배우는 게 중요하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진도가 빠른 것보다 음악을 즐길 줄 아는 힘과 내가 해냈다는 성취감을 길러주는 게 더 소중해요. 그 과정에서 배운 인내와 열심이 아이들이 앞으로 무언가를 해 나갈 때 원동력이 될 겁니다.” 또 성인들에게는 도전의 가치를 강조했다. “연습을 못 해도 괜찮습니다. 저와 함께 차근히 배워 나가면 돼요. 중요한 건 시작하는 용기입니다.”
기자의 눈에는, 파르베 피아노 스튜디오는 단순한 음악 학원이 아니라 아이와 어른 모두에게 피아노를 통한 성취와 교감을 선물하는 공간이었다. 남양주 도심역 인근에서 울려 퍼지는 건반의 선율이 앞으로 더 많은 이들의 삶에 힘과 위로가 되어주길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