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AI와 콘텐츠 기획서, 즉흥 마케팅을 전략으로 바꾸다
- 즉흥에서 전략으로, AI와 함께 완성하는 고품질 콘텐츠

1. 왜 AI+기획서가 필수인가?
콘텐츠를 만들 때, 그날그날 떠오르는 대로 즉흥적으로 올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순간에는 빠르게 작업이 끝나고 성취감도 느껴지지만, 시간이 지나면 부작용이 드러납니다.
주제가 겹쳐서 팔로워나 구독자가 지루해하고, 사진·영상 자료가 부족해 급히 찍다 보니 품질이 떨어지고, 결국 고객의 반응도 미지근해집니다.
비즈니스 마케팅은 운에 맡기는 게임이 아니라 계획과 꾸준함이 만드는 구조물입니다.
이 구조를 튼튼하게 세우는 도구가 바로 콘텐츠 기획서입니다.
콘텐츠 기획서는 단순한 일정표가 아닙니다.
내가 어떤 목표로 콘텐츠를 만드는지 누구를 대상으로 하는지 어떤 메시지를 전달할 것인지 언제, 어디서, 어떤 자료를 활용할 것인지 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전략 지도입니다.
이 지도가 있으면, 혼자서도 기획자·디자이너·카피라이터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에 AI를 결합하면 효과는 훨씬 커집니다.
· ChatGPT는 주제 아이디어, 문구, 스크립트를 빠르게 만들어 줍니다.
· Midjourney는 촬영이 어려운 이미지나 분위기 컷을 제작해 줍니다.
· Canva는 디자인 경험이 없어도 고품질 카드뉴스를 완성하게 해 줍니다.
· CapCut·Pictory는 영상 편집, 자막, 컷 편집까지 자동으로 처리합니다.
즉, 기획서는 방향을 제시하는 나침반이고, AI는 속도를 올려주는 자동차입니다.
이 둘을 함께 쓰면, 작은 가게도 대기업 못지않은 콘텐츠 완성도와 제작 속도를 가질 수 있습니다.
2. 콘텐츠 기획서의 개념과 필요성
콘텐츠 기획서는 목표, 주제, 대상, 채널, 일정, 준비물, 주요 메시지, 기대 효과를 정리한 문서입니다.
이 문서가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중복·실수 방지 – 주제나 이미지가 반복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
· 작업 효율 향상 – 한 번에 필요한 자료와 메시지를 정리
· 성과 분석 용이 – 계획 대비 결과를 쉽게 비교·개선 가능
· 협업 용이 – 팀원이나 외부 제작자와의 소통 효율 상승
· 마케팅 방향성 유지 – 시리즈성 콘텐츠, 캠페인 진행 시 일관성 확보
3. 콘텐츠 기획서 작성 항목과 설명
| 항목 | 설명 |
| 목표 | 콘텐츠로 달성하려는 수치·성과(예: 예약 10건↑, 매출 20%↑) |
| 주제 | 콘텐츠의 핵심 콘셉트·제목 |
| 대상 | 타겟층(연령, 성별, 관심사, 구매력 등) |
| 채널 | 업로드할 플랫폼(블로그,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
| 일정 | 게시 날짜·시간 |
| 준비물 | 필요한 사진, 영상, 자료, 제품 등 |
| 주요 메시지 | 전달하고 싶은 핵심 문장 |
| 기대 효과 | 측정 가능한 성과 목표 |
작성 팁: 목표는 구체적으로, 준비물은 디테일까지 기재(예: ‘신제품 컷 3장’, ‘전후 비교 사진’).
4. 업종별 다양한 사례와 AI 활용 팁
(1) 지역 빵집 – 시즌 신메뉴 카드뉴스
목표: 봄 시즌 신메뉴 판매량 20%↑
주제: “벚꽃 크림빵 출시! 한정 기간 판매”
대상: 20~40대 카페·빵집 이용 고객
준비물: 완성작 사진, 제작 과정 컷, 가격표
AI 활용: Midjourney로 빵 콘셉트 이미지 제작, Canva로 카드뉴스 디자인
좋은 예: 메뉴·가격·기간 명확, 고화질 이미지 제공
나쁜 예: ‘봄 신메뉴 나왔어요’ 한 줄 글, 사진 1장, 정보 부재
(2) 자동차 정비소 – 고객 후기 블로그
목표: 엔진오일 교체 예약 15건↑
주제: “실제 고객의 엔진오일 교체 후기”
준비물: 차량 작업 전후 사진, 고객 인터뷰
AI 활용: ChatGPT로 후기 글 초안 작성, Canva로 전후 비교 이미지 제작
좋은 예: 과정·결과 비교, 고객 코멘트 포함
나쁜 예: ‘오일 교체 완료’ 짧은 글, 사진 없음
(3) 필라테스 스튜디오 – 회원 체험 영상
목표: 신규 회원 10명 유치
주제: “2주 만에 자세 교정 변화”
준비물: 수업 장면, 회원 후기 영상, 비교 이미지
AI 활용: Pictory로 영상 자막 생성, CapCut으로 전후 비교 클립 제작
좋은 예: 변화 수치·전후 비교, 고객 추천사 포함
나쁜 예: 수업 사진 1장, 효과 설명 없음
(4) 온라인 문구몰 – 상품 리뷰 영상
목표: 신제품 매출 30%↑
주제: “하이브리드 볼펜 2주 사용 후기”
준비물: 사용 영상, 제품 특징 사진, 경쟁 제품 비교
AI 활용: ChatGPT로 장단점 정리, CapCut으로 편집·BGM 삽입
좋은 예: 비교 자료·사용 후기·가격 명시
나쁜 예: 사진 나열, 후기 부재
(5) 한식당 – 지역 축제 연계 홍보
목표: 축제 기간 예약 20건↑
주제: “봄꽃 축제 한정 메뉴 & 세트 할인”
준비물: 메뉴 사진, 축제 현장 컷, 가격표
AI 활용: Midjourney로 축제 분위기 이미지 제작, Canva로 할인 안내 배너
좋은 예: 메뉴 구성·가격·기간 모두 기재, 이미지와 분위기 전달
나쁜 예: 간단한 메뉴 소개, 가격·기간 안내 없음
5. AI 도구별 활용 포인트
| AI 도구 | 활용 용도 |
| ChatGPT | 주제 아이디어, 문구 작성, 스크립트 제작 |
| Canva | 카드뉴스, 홍보 이미지 제작 |
| Midjourney | 제품·분위기 이미지 생성 |
| Pictory | 영상 자동 자막, 요약 편집 |
| Descript | 인터뷰 영상 편집, 음성 교정 |
| CapCut/VN | 숏폼·홍보 영상 편집 |
| Google Calendar | 게시 일정 자동 알림 |
6. 좋은 기획서 vs 나쁜 기획서
| 구분 | 좋은 기획서 | 나쁜 기획서 |
| 목표 | 수치·성과 명확 | 모호하거나 없음 |
| 주제 | 콘셉트·차별성 있음 | 제목·내용 모호 |
| 준비물 | 구체적·다양 | 자료 부족 |
| 메시지 | 핵심 한 문장 압축 | 불분명 |
| 일정 | 날짜·시간 확정 | 미정 |
| 기대 효과 | 측정 가능 | 불가능 |
7. 전략과 AI로 성과를 만드는 습관
기획서 없이 콘텐츠를 만든다는 것은 지도 없이 낯선 도시를 걷는 것과 같습니다.
방향을 잃고 헤매며, 결국 원하는 목적지에 도달하지 못할 가능성이 큽니다.
기획서는 방향을 제시하고, AI는 그 방향으로 가는 가장 빠르고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 둘을 함께 쓰면, 소규모 매장도 대기업 못지않은 콘텐츠 품질과 속도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해야 할 일은 단순합니다.
기획서 한 장을 작성하고 AI 도구를 연동해 첫 번째 전략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
마케팅에서 가장 비싼 것은 ‘망설임’이며, 가장 큰 절약은 ‘지금 바로 시작하는 것’입니다.
즉흥이 아닌 전략, 노동이 아닌 자동화, 불안이 아닌 자신감으로 여러분의 브랜드를 성장시키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