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30세 미만 연령층에서 당뇨병 발병이 지난 13년 동안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경제적 취약 계층에서 더 두드러진 양상을 보여, 건강 형평성을 위한 국가 차원의 대응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최근 13년간(2008~2021년)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 13만 건을 분석한 결과, 청소년과 청년층의 당뇨병 발생률 및 유병률이 크게 상승했다고 26일 밝혔다. 이 연구는 분당서울대병원 김재현 교수팀이 국립보건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했으며, 관련 논문은 국제학술지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에 게재됐다.

과거에는 주로 1형 당뇨병이 소아·청소년에게 나타났지만, 최근에는 2형 당뇨병도 이들 연령대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이와 유사한 경향이 보고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이를 반영하듯 2형 당뇨병 유병률은 2008년 10만 명당 73.3명에서 2021년 270.4명으로 약 4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형 당뇨병 발생률 또한 같은 기간 동안 2.2배 증가해, 젊은 세대의 건강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반면, 1형 당뇨병의 발생률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지만, 유병률은 같은 기간 21.8명에서 46.4명으로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성별·연령별 차이 뚜렷
성별 분석 결과, 1형 당뇨병은 여성에서 26% 더 많았고, 2형은 남성에서 17% 더 많이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1형은 영유아기(05세)에서, 2형은 청소년기(13~18세)에서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다.
김재현 교수는 “전통적으로 2형 당뇨병은 중장년층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제는 고등학생이나 20대 초반에서도 진단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며 “이러한 경향은 대사 건강의 조기 악화를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소득 수준 따라 최대 3.7배 차이
이번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요인이 당뇨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됐다. 저소득층(의료급여 수급자)의 경우 중·고소득층 대비 1형 당뇨병은 2.9배, 2형은 무려 3.7배나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사회적·경제적 환경이 건강 격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수치로, 공공의료 체계 전반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국립보건연구원 박현영 원장은 “당뇨병이 점점 더 젊은 연령층에서 만성질환으로 자리 잡고 있는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며 “특히 저소득층을 위한 선제적 예방·관리 정책과 건강 형평성 확보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당뇨병은 더 이상 중·장년층만의 질환이 아니다.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급증하고 있는 당뇨병은 개인의 건강뿐 아니라 사회적 부담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에서 발생률이 높아지고 있는 현상은, 질병 예방을 넘어선 '건강 형평성'이라는 새로운 국가 과제를 던지고 있다. 청소년기부터의 조기 건강관리와 사회 안전망 강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